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계 노병, 우주에 잠들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수일에 걸쳐 촬영해 까만 우주에 숨겨져 있던 먼 은하를 담는 프로젝트다. 덕분에 은하의 개수, 모양과 진화 과정 등 은하에 대해 속속들이 알 수 있게 됐다. 허블우주망원경이 1995년 큰곰자리의 일부분을 10일간 촬영한 자료를 정리한 허블 딥 필드 논문은 1500회 이상 인용됐다.1992년 최초로 블랙홀을 ...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수학동아 l2021년 01호
- . 벡터란? 벡터는 벡터 공간의 점으로, 크기와 방향을 가진 양을 나타냅니다. 변수의 개수에 따라 벡터 공간의 차원은 달라집니다. 즉 2차원은 변수가 x와 y인 공간이며, 3차원은 변수가 x, y, z인 공간이죠.여기서는 2차원 벡터 공간을 예로 들어 설명할게요. 벡터는 벡터 공간의 점이고, 점은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쓰기 위해 직접 개미수열의 20항까지의 값을 구한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16항부터 수의 개수가 100개가 넘어가면서 오류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20항은 무려 302개의 숫자로 구성돼 있다고 하네요.사전 녹화 현장에선 개미수열 14항의 숫자를 이용한 곡 ‘L.A.S.S.14’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바람이 전기가 되는 풍력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염려가 없기 때문에 풍력발전은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요.혹시 풍력발전기의 날개 개수가 늘면 전기를 더 많이 만들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아요. 날개가 많아지면 바람을 받는 면적과 발전량은 늘어나지만, 오히려 발전 효율은 떨어져요. 날개가 너무 무거워져서 지지탑이 무게를 지탱하기가 ... ...
- [가상인터뷰] 더위를 견디는 낙타 털을 따라 해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부탁해!안녕, 나는 낙타야. 혹이 두 개인 쌍봉낙타와 하나뿐인 단봉낙타로 나뉘지. 혹의 개수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이 혹 안에는 지방이 들어 있어. 이 지방을 분해해서 물과 영양분을 얻으면 며칠 동안 쫄쫄 굶어도 문제없다는 말씀! 혹뿐만 아니라 내 몸 구석구석에 혹독한 사막 기후를 잘 견딜 ... ...
- [헥!헥!핵물리학자] 미래 과학자여, 뒤를 부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합쳐지는 반응이 훨씬 많이 일어난다면, 글루온의 에너지를 아무리 낮춰도 더이상 개수는 늘지 않을 거예요! 이러한 현상을 ‘글루온 포화’라고 불러요. 글루온 포화는 이론적으로는 밝혀졌으나 실험으로 확인하지는 못했지요.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는 글루온 포화 현상을 실험으로 검증하기 ... ...
- 데이터로 작곡한 교향곡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항체 등으로 작용하는 ‘펩타이드’로 정했어요. 펩타이드를 이루는 아미노산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면 ‘쿵’, 중간이면 ‘타’, 적으면 ‘치’로 표현했지요.이다영 작가는 “현재 DMZ의 생태계를 소리로 바꿔 표현한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며 “생태계가 가진 DNA 정보와 ... ...
- [가상인터뷰]오가노이드 성장 비결은 쥐어짜내며 ‘압축’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세포의 수가 늘어난 비율을 측정했어. 그 결과, 압축하지 않은 오가노이드의 세포 개수가 늘어난 비율은 약 30%였지만, 압축했던 오가노이드의 세포 수가 늘어난 비율은 50~80%였단다.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밍 구오 박사는 “실제로 베타카테닌의 밀도가 높아져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신호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2인 변이 32개 있으므로 32/2이죠. 마찬가지로 3단계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2)2, 변의 개수는 32×3=33으로 총 둘레는 33/22이에요. 결국 n번째 만들어지는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의 둘레는 3n/2n-1이고, 단계를 무한히 반복하면 둘레 역시 무한히 커진답니다. 일정한 면적 안에서 무한한 둘레를 갖다니!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8800여 개 팀이 참가한 대회도 있었다.금메달은 보통 10등까지 주어지는데, 정확한 개수는 참가팀 수에 따라 달라진다. 대략 수천 개 팀 중 13~15등 내에 들어야 금메달을 받을 수 있다. 대회 성적은 포인트로 적립돼 캐글에서 이뤄진 경진대회에 대한 전체 등수가 매겨진다. 이 선임연구원은 등수가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