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자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해 목성 극지역의 자기장을 시뮬레이션했다. 1cm3 당 0.2의 개수밀도(단위 부피당 입자수)를 가진 태양풍이 초속 400km로 불어오는 상황을 가정하고 태양풍 속 입자들이 목성의 자기장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때 오로라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했다.그 결과 목성의 ... ...
- 에어택시, 하늘이 일상으로 들어오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있었다. 반면 UAM은 보통 8개 이상의 추진체를 사용하며, 개발사마다 추진체의 위치와 개수가 제각각이라 형태가 다양하다. 도심을 안전하고 조용하게 날아다니려면황호연 세종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은 지난해 발표한 연구에서 UAM 운행시 운영 중단 요인으로 안개와 미세먼지, 뇌우, 바람(초속 ...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형태였음을 확인했다.등뼈를 형성하는 뼈 구조물들이 하나로 융합돼 있고 발가락의 개수와 마디수가 줄어드는 형태로 진화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런 특징은 땅을 파거나 꼬리를 움직이면서 균형을 잡는 데 유리하다. 몸통이 위아래로 납작하고 유선형에 가까운 점도 갑옷공룡이 퇴적물을 ... ...
- [매스포터] 수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법 '진법'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써서 나타내는 전개식으로 표현하면 2504=2X103+5X102+0X101+4X100입니다. 각 진법은 서로 다른 개수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십진법은 0~9까지 10개의 숫자를, 이진법은 0과 1의 2가지 숫자를 사용해서 수를 표현하죠. 십일진법이나 십이진법처럼 10이 넘는 수로 나타내는 진법도 있습니다. 이런 진법에서는 ... ...
- [몬스터를 잡아라!] 비교의 달인, 비와 비율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게임이 끝나고, 색칠된 칸에 두 참가자가 고른 모양이 몇 개인지 세서 비로 나타내요. 개수가 더 많은 쪽이 승리! 몬스터와 함께 푸는 퀴즈 게임이 아래와 같이 진행됐어요. 연두는 를, 하늘은 를 좋아하는 모양으로 선택했어요 ... ...
- 수학자에게 물었다!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한 것처럼 일상의 문제를 수학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가 될 수 있죠. 그럼 엉덩이 개수 문제와 비슷한 또 다른 문제를 내볼까요? 위상수학적으로 사람의 몸은 몇 개의 구멍을 가진 도넛과 같을까요? 폴리매스 홈페이지의 관련 게시글로 와서 여러분의 답을 댓글로 달아주세요! 명확한 근거를 들어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리은하를 가장 비슷하게 재현한 우주 3개를 골라냈습니다. 그리고 표현할 입자의 개수를 늘려 해상도를 더 높였습니다. 마치 카메라 줌을 당기듯 말이죠. 그래도 입자 하나는 태양의 수만 배 수준입니다. 미래를 보여주는 은하 관측이 논문에서 재현한 은하는 우리은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문제③ 어떤 상수 c3>0이 있을 때, 어떤 점 배치에 대해서도 속이 빈 단색 삼각형의 개수가 항상 c3n2 이상임을 증명할 수 있을까? 백진언 연구원의 팁지수가 2인 경우는 아직 풀리지 않은 문제입니다. 지수가 1이거나 1보다 큰 경우를 먼저 증명해보고, 다양한 전략의 장단점을 분석해서 증명을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가장 먼 꼭짓점’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한 ‘각뿔의 꼭짓점’에 관한 문제는 개수를 묻기보단 그림에서 ‘각뿔의 꼭짓점’을 찾아 표시하는 문제로 종종 나온다고 말했어요.우리나라도 영어권 국가처럼 ‘꼭짓점’과 ‘각뿔의 꼭짓점’을 완전히 다른 단어로 구분하면 좋았을 것 ...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수학동아 l2021년 03호
- 5세기 그리스 아테네에 살던 안티폰이라는 철학자는 원에 내접하는 정다각형에서 변의 개수를 한없이 늘리면 원적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그리스 철학자 에우데모스는 작도문제에서 변을 무한하게 늘릴 수는 없다며 회의적이었다고 합니다. 그 후에도 다양한 시도가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