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그해 4월 유럽우주국(ESA)은 우리은하의 3차원(3D)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띄운 가이아 우주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우리은하 내 17억 개의 별을 포함한 최신 자료를 공개했다. 우리는 이 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 코딩을 활용해 관측 자료를 입력하면 우리은하의 구조와 운동을 ...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9호
- ASKAP)’를 이용해 FRB의 위치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ASKAP는 구경 12m인 대형 전파망원경 36대가 연결된 거대한 우주 관측망이다. 이번에 연구팀이 찾아낸 ‘FRB 180924’는 지구로부터 약 41억 광년 떨어진 대형 타원은하 중심에서 약 1만3000광년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으며, 위치 확인에 성공한 건 2012년 ...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연구팀은 이 별의 탄생을 조선의 ‘세종실록’에서 발견합니다. 기술적으로 아무리 좋은 망원경과 컴퓨터가 있더라도 별의 과거를 알 수는 없습니다.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이 직접 관측하고 남긴 기록이 있으면 별의 과거를 알 수 있으니 이 별이 어떻게 탄생했고 진화했는지를 알 수 있던 겁니다 ... ...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연구합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정확하고 정교한 자료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또 다른 망원경을 가진 것과 다름없습니다. 진귀한 기록이기에 최근에는 서양에서도 우리나라 자료에 관심이 매우 많지요. 우리 선조들의 흔적으로 찾을 수 있는 천문 현상은 여전히 많습니다. 우리 기록으로 또 어떤 ... ...
- 누구도 풀지 못한 하늘의 비밀 선조의 천 년 기록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새로운 주기를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밝혔습니다. 놀라운 건 거대 망원경이 아닌 수백, 수천 년 전 고서를 분석해 찾아낸 결과라는 겁니다. 선조의 기록이 현대 천문학 문제를 해결한 게 처음은 아니라는데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누구도 풀지 못한 하늘의 비밀 ...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활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새로운 발견에 연구팀이 이용한 도구는 거대한 천체망원경이 아닌 우리 선조가 남긴 오래된 기록이었습니다. 연구팀은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흑점 관측 자료 55개에 중국의 중요한 사서 기록을 포함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기존에 알려진 11년과 6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역사상 최초로 공개된 초대형 블랙홀 이미지에 이목을 집중했다.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블랙홀 이미지 연구에는 한국인 과학자도 8명이 참여했고, 그 중에서도 UST 소속 3명이 주역을 맡았다.정태현 교수(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는 UST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정상나선은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2005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Spitzer) 우주망원경의 관측을 통해 나선팔이 2개인 막대나선은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부수적인 나선팔이 몇 개 더 있지만, 대부분 가스와 먼지로 구성돼 있고 항성은 드문 것으로 추정돼 아직 공식적인 나선팔로 인정받지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있는 중국도 외계생명체 탐색에 뛰어들었다. 중국은 2016년 완공한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패스트(FAST)를 가지고 외계생명체의 전파 메시지를 검출할 목표를 세우고 있다. 그동안 세티 프로젝트에서 감지할 수 없었던 우주 깊은 곳의 전파 신호까지 탐색할 수 있을 전망이다. 외계생명체를 탐색하는 ... ...
- 탐험┃목성 & 토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지구의 약 11배에 이르며, 질량은 태양의 1000분의 1 수준이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이용해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등 4개의 위성을 발견하면서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가스형 행성인 목성 내부에는 태양처럼 수소와 헬륨이 많다. 목성의 핵은 철과 규산염 광물로 이뤄진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