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행성 만드는 젊은 별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약 470광년 떨어진 곳에 있어요.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고성능 전파망원경 ALMA로 DM타우 별을 관찰한 결과, 주변에 먼지 고리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태양계도 약 46억 년 전 태양 주변의 먼지와 가스 구름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연구팀은 DM타우 주변 먼지 고리에 집중했지요 ... ...
- 피플┃천문우주학도는 왜 우주 스타트업을 차렸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재학 시절 인공위성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한 경험을 살려 대회에 나갔다. 분리형 우주망원경의 기술을 검증하는 초소형 위성 2기를 개발해 2018년 궤도에 올려 보냈다. 그는 당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하기 위해 네덜란드, 덴마크, 영국 등 유럽의 초소형 위성 개발 기업들을 찾아 다녔다. 유럽 정부는 ... ...
- 질서┃우주의 현재···우리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7호
- 2세대 별 중 하나인 므두셀라별(HD 140283)은 지구에서 1800조km(약 190광년) 떨어져 있어 망원경이나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다.별이 탄생과 죽음을 반복하며 우주에 무거운 원소는 더욱 늘어났고, 2세대 별보다 무거운 원소를 더 많이 포함한 3세대 별이 등장했다. 태양도 3세대 별에 속한다. 3세대 별들은 ... ...
- 탐험┃ 천왕성 & 해왕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멀리 떨어져 있다. 당연히 맨눈으로는 확인 할 수 없다. 독일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망원경을 이용해 1781년 천왕성 발견을 공식 발표했다. 2년 뒤 요한 엘레르트 보데가 여러 증거를 찾아 행성임을 입증했다.천왕성 내부 깊숙한 곳에는 물과 메탄, 암모니아로 이뤄진 얼음이 높은 압력에 의해 ... ...
- 어린이과학동아 과학가족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하늘에 어떻게 저렇게 큰 천체들이 떠 있는 걸까요? 볼때마다 새롭고 궁금해요. 저는 망원경의 접안렌즈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대고 달을 촬영하는 것을 좋아해요. 제 사진을 보고 천체사진을 찍어달라고 부탁하시는 분들도 많아요. 그럴 때면 어깨가 으쓱해 저~기 달까지 올라갈 것 같아요. 성현 ...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질량이 비슷하며, 나머지 항성은 크기가 태양의 3분의 1이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면 통과 방식으로 세 번째 행성을 발견했다. 천체면 통과 방식은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빛이 줄어드는 차이를 분석해 행성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이번에 ... ...
- [화보] 지구에서 깊은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 지구에서 7500광년이나 떨어진 성운의 모습을 어떻게 사진으로 담았을까. 작가는 천체 망원경에 ‘하이퍼스타 C11’이라는 특수 경통을 장착해 조리개를 가능한 크게 열어서(F2) 더 많은 양의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사진의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성운을 4분할 해 찍은 뒤 하나로 합쳐 한 ... ...
- [수학뉴스] 고등학생이 만든 외계행성 찾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못한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까지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찾아낸 2600개 이상의 외계행성 외에 추가로 560개를 더 찾아낼 수 있으며 이를 발견할 수 있는 지역은 96개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험프리 양은 라틴 아메리카 출신으로는 처음 1등을 차지했는데요, ... ...
- "흥미로운 곳에 길이 있다" 잉그리드 도브시 인터뷰수학동아 l2019년 05호
- 픽셀을 제거하면,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래서 허블 망원경이 찍은 사진이나 의료 사진 압축, 무선 통신에 두루 쓰인다. 2015년에는 중력파를 검출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도브시 교수는 웨이블릿 이론을 이용해 반 고흐와 렘브란트 판 레인의 작품이 맞는지 진위를 ... ...
- 블랙홀 첫 직관, 여전히 궁금한 5가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다만 아직 두꺼운 구름층에 대해 계속 이해하고 있는 중이며, 국내에 있는 3대의 전파망원경(한국우주전파관측망)이 여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손 책임연구원은 “Sgr A*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지만, 현재 많은 부분을 해결했으며 머지않아 그 결과를 공개할 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