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과 물리학을 이어주는 다리 이자도어 싱어 별세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데 큰 역할을 하며, 초끈이론과 양자장 이론 연구에 기여했습니다. 두 수학자가 수학과 물리학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한 것이죠.싱어는 아티야와 함께 2004년 수학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상 중 하나인 아벨상을 공동 수상했습니다. 당시 싱어는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성과가 여러 수학 분야의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과제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그 어려운 일을 해낸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입니다. 펜로즈 교수는 1970년대에 ‘펜로즈 타일링’이라는 예시를 들어 단 두 가지 모양의 사각형만을 사용해서 어떤 패턴의 반복도 없이 2차원 평면을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외계행성 K2-18b 대기에서 물의 존재를 찾아내 2019년 ‘네이처 천문학’(9월)과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12월)에 각각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550-019-0878-9, doi: 10.3847/2041-8213/ab59dc 물론 K2-18b는 질량이 지구의 9배이고 크기도 2배나 되기 때문에 지구와는 환경이 많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궁극적인 모양과 특이점에 대한 궁금증이 해결될 수 있는 거죠.2014년 5월 중국과학원 기하물리학연구소의 설립자인 씨우시옹 천과 중국과학원 수학과 빙 광 교수는 해밀턴-티엔 추측을 증명하는 120쪽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두 사람은 5년에 걸쳐 n차원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사한 에너지 추출 방법을 고안해낸 사례도 있다. 다이슨스피어(Dyson sphere)다. 미국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은 SF에서 영감을 받아 태양과 같은 항성에서 끊임없이 에너지를 추출하는 거대 구조물을 구상했다. 항성을 둘러싸는 원형구조물을 만들어 에너지를 얻는다는 개념이다. 2011년에는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7000만 년 후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블랙홀이라는 것을 의미하죠.J0313-1806의 발견은 천체물리학자들에게는 새로운 고민거리예요. 우주 탄생 초기에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만들어진 이유를 설명할 수 없거든요.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큰 별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경우, 또는 빽빽하게 모여 있던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가장 화풍의 격변이 심한 작가는 미국 추상 화가 하워드 메링으로 드러났다. 이병휘 KAIST 물리학과 연구원은 “어떤 화가가 화풍의 변화가 컸는지, 혹은 적었는지는 이미 알려져 있었지만 화가들의 그림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객관적인 수치로 밝힌 연구는 없었다”며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온도일까요. 지난해 12월 더크 슐츠-마쿠흐 교수가 이끄는 독일 베를린공대 천문 및 천체물리학 연구소팀은 국제학술지 ‘천체생물학’에 생명체가 번성하기 위한 행성의 조건을 발표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생명체가 최대한 번성하려면 현재 지구 평균보다 5℃가량 높아야 합니다. 지구 평균 ... ...
- [4컷만화] 석탄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흑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식은 피자를 데울 때만 쓴다고요? 미국 와이오밍대학교 물리학 및 천문학과 테유 치엔 교수팀이 전자레인지를 이용해서 석탄을 흑연 나노입자로 만드는 방법을 발표했어요.흑연 나노입자는 윤활유부터 소화기, 리튬 이온 건전지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서 쓰이는 물질이에요. 연구팀은 석탄을 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군들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특히 SO(2,ℝ)이라는 특수직교군은 물리학, 특히 원자의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는 양자역학에서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원이 수학에서 특별한 존재인 만큼 원의 대칭으로 이뤄진 군 역시 수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쓰이는 것을 아시겠죠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