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군들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특히 SO(2,ℝ)이라는 특수직교군은 물리학, 특히 원자의 세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는 양자역학에서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 원이 수학에서 특별한 존재인 만큼 원의 대칭으로 이뤄진 군 역시 수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쓰이는 것을 아시겠죠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사한 에너지 추출 방법을 고안해낸 사례도 있다. 다이슨스피어(Dyson sphere)다. 미국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은 SF에서 영감을 받아 태양과 같은 항성에서 끊임없이 에너지를 추출하는 거대 구조물을 구상했다. 항성을 둘러싸는 원형구조물을 만들어 에너지를 얻는다는 개념이다. 2011년에는 ... ...
- [이달의 수학자] 천재를 알아본 천재,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이 공식은 정수론에서 어떤 값의 근삿값을 유도하는 식으로, 물리학에서 원자핵의 양자 분배 함수를 찾는 데 사용하는 등 많은 과학 분야에 응용됩니다. 저술 활동도 활발했던 하디는 수학 에세이 ‘어느 수학자의 변명’을 집필했습니다. 이 책에서 하디는 수학을 예술에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관심 분야는 음악, 미술, 체육, K-팝 문화 등 다양하다. 박 교수는 박사 과정 당시 물리학, 네트워크 이론을 공부했다. 이 방법론을 다양한 예술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인터뷰 중 자신을 ‘문화예술 분야에서 물리하는 사람’이라고 소개하기도 했다.지난해 1월에는 클래식 음악가들의 창의성과 ...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동생이 게임 고인물인가 봅니다.▶ 양자물리학 속 치트키(?)그 장면을 보자 양자물리학에서 설명되는 현상이 번뜩 연상됐다고 합니다(이걸 이과가 또…). 우선 기본 개념부터 얘기해줍니다. 아원자 물질(원자보다 작은 원자핵이나 전자 같은 물질)은 단순히 하나의 입자로 돼 있는 게 아니라, 파동과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실제로 물리학자의 길을 걸어 볼까도 생각했지만 결국 그러지 않았어요. 개인적으로 물리학이라는 학문은 공부와 연구에 인생을 바쳐야 할 정도로 몰두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거든요. 물론 다른 연구 분야의 학자들이 그렇지 않다는 말은 아니에요. 좀 더 자유로운 학문을 찾고싶었던 것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활용해서는 안 된다.예를 들어 연세대 공대의 한 연구원이 2004년 국제학술지 ‘응용물리학레터스(APL)’에 발표한 논문이 다른 학술지에 이미 발표된 것을 짜깁기한 내용이라는 사실이 2006년 밝혀진 사건이 있다. 당시 연구원의 소속 대학은 그의 박사학위를 취소했고, 교신저자였던 교수는 1년간 ... ...
- [신 기후체제] 남은 0.4℃를 지켜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형에 새로운 통계 기법을 적용해 기후변화 예측 모델을 제작했다. 과거 기후에 대한 물리학적 이해를 토대로 각 기후 모형이 내놓는 미래 기후 전망치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doi: 10.1038/s41467-019-10561-x안 교수는 “기후는 굉장히 비선형적으로 반응하는 시스템”이라며 “그 안에 존재하는 ...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다룬 기사를 과학동아에서 읽고 교사에게 전달해 교과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줬다. 물리학, 화학, 수학, 공학 등 모든 과학이 재밌어서 아직 구체적 진로를 정하지 못했다는 김 군은 “미래에 어떤 학문을 공부하든 사람들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연구하는 과학자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서열 분석 방법을 개발한 생명정보학자, 구조형성에 대한 물리학적 직관을 얻어낸 생물물리학 연구자 등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력이 알파폴드2의 성공을 이끈 셈이다. 알파폴드2가 할 수 있는 것, 그리고 할 수 없는 것 알파폴드2 덕분에 인류는 인간 유전체에 있는 모든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할 수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