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맥
meal
mill
mille
d라이브러리
"
밀
"(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분자육종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에너지 고갈 위기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밀
이나 옥수수, 감자 같은 작물이 녹말을 더 많이 함유하도록 분자육종 기술로 개량하면 된다는 뜻이다. 녹말이 차세대 에너지 원인 바이오에탄올의 원료이기 때문이다.최근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눈높이가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고등부 영어논술대상) - Co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Co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주제 : Although we tend to perceive science and technology as inseparable concepts, science and technology in fact have been distinct concepts and will ... 기술의 관계맺 ...
다이아몬드별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자세히 살피면 별의 속사정을 파악할 수 있다. 별의 맥동 주기를 관측해 별의 질량,
밀
도 같은 물리량뿐 아니라 내부 구조도 가장 잘 알 수 있는 방법이다. 빛만을 갖고 멀리 떨어진 별의 내부를 알 수 있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김 박사는 “맥동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백색왜성 5개에 대해 ... ...
생활 속
밀
도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갖는 얼음이 가운데 떠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얼음이 녹아 물과
밀
도가 같아지면 물 층으로 합쳐진다.www.dongaScience.com/bescientists.asp [도전! 1% 클래스 → 실험 과학여행]에서 직접 실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끝나지 않은 물리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신념에 반하는 명령을 내린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인가. 약 50년 전 사회과학자 스탠리
밀
그램은 이런 의문에서 이른바 복종실험을 했다. 이 책은 양심과 권위 사이의 갈등으로 생긴 딜레마에서 개인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그 원인은 어디에 있는지 살펴본다.낙관적 생각들존 브록만 엮음 |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역제곱법칙은 두 물체를 직선으로 잇는 힘이 두 물체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의미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만유인력 법칙과 쿨롱법칙 ... 그러므로 은하의 질량 분포는 누적적으로는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해 증가하고,
밀
도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에 반비례해 감소한다 ... ...
동물원의 열혈 엄마, 사육사 배경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마련이죠. 소고기, 닭고기도 많이 줬지만 미어캣이 특히 좋아하는 손가락만한 벌레인 ‘
밀
웜’이 떨어지지 않도록 신경을 썼습니다.”이것저것 챙길 일이 많아지다보니 배 사육사의 일상은 더욱 바빠졌다. 하지만 힘들지 않았다. 자신은 ‘천생(天生)’ 사육사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농고를 ... ...
[지구과학]바닷물의 특성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시각보다 청각이 유리하다. 2) 음속은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압력이 높아 매질의
밀
도가 높을수록 빠르다(염분에 의한 효과는 너무 작아서 무시한다). 평균적인 해수의 수온은 표층에서 가장 높고 수온약층을 지나며 낮아져서 심층에서 가장 낮다. 반면 압력은 깊이에 비례해 꾸준히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했다. 인물 A는 지적이고 일처리를 잘 하며 성실하고 결단력이 있고 노련하고 주도면
밀
하다고 묘사돼 있다. 흥미롭게도 잠깐이나마 따뜻한 커피잔을 들고 있던 사람들은 아이스커피잔을 들었던 피험자에 비해 인물 A에 대해 더 관대하고 세심한 즉 따뜻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연구자들은 “뇌에서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관측장비의 정
밀
도가 높아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해 중력파의 존재나 암흑에너지의 비
밀
을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플랑크 프로젝트에도 협력연구자로 참여하고 있다.소형위성 개발에서 교사 교육까지스무트 교수는 IEU 소장으로서 한국의 천문우주 분야에 기여하려는 의지를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