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품"(으)로 총 1,47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기계식 키보드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스위치는 기계식 키보드의 키감을 좌우하는 가장 중심이 되는 부품입니다. 과감하게 한 번 더 분해했습니다. 빨간색 걸쇠와 스프링, 그리고 검은색의 하단 구조물로 이뤄져 있었습니다. 키를 누르면 걸쇠가 하단 구조물 속에 들어가서 접지부가 서로 닿고, 그 결과 전류가 흘러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산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굴기로의 성장이 눈에 띈다. 초대형 집적회로 제조, 핵심전자부품 등의 85%를 자급자족한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글로벌 과학출판그룹인 ‘네이처’는 중국의 성장 동력으로 과감한 인재 영입, 아낌없는 재정 지원, 혁신 전략 등을 꼽았다. 안나 왕 로이 중국 저장대 ...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왜 수익성이 낮은 산업인지 금방 알 수 있다. 가구산업은 경쟁 기업들이 대단히 많으며, 부품업체들의 세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차별화를 시도하기 힘들어 고객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는 시장이다. 매스코가 큰 성과를 내기 힘들 수밖에 없다. 이상의 기준을 삼성전자에 적용해 보면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전용 로켓으로 3만 여 개의 로켓 부품을 1000여 개로 대폭 줄였다. 또 엔진을 포함한 로켓 부품을 3D프린터와 탄소섬유로 제작해 비용을 줄였다. 일렉트론에 사용되는 엔진 1기는 24시간 안에 3D프린터로 찍어낼 수 있으며, 발사체 1기에는 총 10기의 엔진이 들어간다. 이렇게 설계한 일렉트론의 발사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수십 개의 전자부품을 이용해 수 백 종의 전자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수많은 DNA 부품을 이용해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생물 시스템은 우리의 상상력에 달려 있습니다. 박홍재고려대 계산및합성생물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DNA를 읽고, 쓰고, 고치는 분자적 기법을 균류에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미야자키 하야오는 이처럼 기어코 하늘을 날고야 마는 사람을 동경했습니다. 항공기 부품을 만드는 공장을 운영하며 직접 항공기를 몰았던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죠. 미야자키는 자신의 작품 철학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메카닉물★은, 주인공이 자신이 만든 것이라고 할 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적정기술 연구센터 핸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스탠드의 틀을 만들었으니 이젠 불을 켤 수 있도록 전기부품을 연결해 봐요.”전기 부품은 글루건으로 고정시켰어요. 그리고 LED 전구를 나무에 붙인 후, 전선을 스위치와 연결하자 LED 스탠드가 환하게 빛을 발했어요. 태양광으로 전력을 더 아끼자!친구들은 완성된 LED 스탠드에 보조배터리를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위에 이름을 올린 ‘선웨이 타이후라이트(Sunway TaihuLight)’ 등 중국 슈퍼컴퓨터는 모든 부품을 자체 제작했다. 현재 중국 과학자들은 변혁의 중심에서 대규모 투자와 중국 인민의 기대에 따른 무거운 책임감과 중압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부담감이 결과적으로는 중국 과학계에 자부심과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하고 싶은 다른 일들을 많이 했다고 한다. 특히 그는 손으로 하는 일을 좋아해서 작은 부품을 조립하거나 십자수를 놓고 피아노를 치는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겼다. 덕분에 크게 학업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공부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고등학교 1~3학년 동안 성적 변화도 크게 없었다. “다른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개인 인증국내에서는 다중생체인증시스템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조영창 전자부품연구원(KETI)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손목 심전도와 손목 피부의 광학패턴을 읽어내는 다중 생체인증시스템을 개발했다. 사람의 피부 조직은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나눠지는데, 층마다 주름이나 혈관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