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산지
생육지
d라이브러리
"
서식환경
"(으)로 총 83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안성천 다리 밑이라….’ 다리 밑에서 만나자니. 무슨 밀수 현장도 아니고…. 이런 장소에서 취재원을 만나기로 한 건 처음이었다. 주소도 없었다. 내비게이션으로 검색해 보니 ‘안성천교’라는 이름을 가진 다리가 무려 네 개였다. 취재원으로부터 위성사진이 담긴 지도를 받았다. 다행히 내비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는 외모나 행동, 살아가는 모습이 아주 비슷해요. 그래서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별하기 힘들지요. 특히 두 종은 같은 공간에서 살기 때문에 수원청개구리인줄 알고 잡았는데 실제론 청개구리인 경우가 많아요. 수원청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개체수가 많아 만나기도 ... ...
등검은말벌 대한민국을 공격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특히 기후변화로 급격히 수가 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등검은말벌은 아열대종으로
서식환경
이 우리나라 기후와는 맞지 않는다. 처음 발견됐을 때만 해도 다른 아열대종 생물들처럼 겨울을 버티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등검은말벌은 한반도의 겨울을 잘 버텨냈고 10여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30년 만에 몸무게가 20% 이상 줄고 1년 일찍 산란하도록 진화한 물고기가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불과 10년 만에 몸무게가 100kg 이상 늘어난 육상 포유 동물은 어떤가.실없는 소리 같지만,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인간의 먹이 활동으로 인해 동식물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 인간은 오늘날 ‘슈퍼 ... ...
스티로폼 먹어치우는 밀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벌레를 이용해 스티로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중국 베이항대 생명과학 및 의공학과의 레이 지양 연구팀은 애벌레의 일종인 밀웜이 스티로폼을 먹어 분해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환경과학기술’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밀웜은 딱정벌레목 거저릿과 갈색거저리 (Tenebrio molitor)종의 애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신비롭고 놀라운 프랑스의 곤충을 뛰어난 관찰력으로 오랫동안 지켜 본 장 앙리 파브르는 곤충학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파브르 곤충기는 생동감 있는 곤충의 다채로운 삶을 사실적으로 전달해주는 최고의 곤충서다. 곤충의 생태를 꼼꼼하게 관찰해 정확하게 묘사했을 뿐 아니라 시적인 문장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개굴~ 개굴~ 개구리, 노래를 한다~♪ 아들 손자 며느리~ 다~ 모여서~♬’개구리가 우는 계절이 돌아왔어요! 겨우내 딱딱하게 언 땅에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들은 봄이 되면 앞다투어 즐겁게 노래하기 시작하지요. 그런데 정말 가족이 다 모여 반가워서 노래할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오래 전부터 낙타는 아랍 유목민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동반자였다. 아랍의 고전에 등장하는 낙타는 슬픔과 외로움을 달래주는 정신적 존재였고, 현실에서는 유용한 이동수단이자 식량이었다. 이슬람 시대 이전부터 아랍인에게 낙타는 ‘사막의 배’이자 숭배의 대상이었고 또한 전투의 수 ... ...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5월 초 세상에서 가장 위험천만한 ‘배달 사고’가 발생했다. 경기도 오산에 있는 한미합동기지에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이 배송된 것. 탄저균은 치사율이 80%가 넘는 생화학 테러 물질이다. 치사율이 10% 안팎(6월 말 대한민국 기준)인 메르스 바이러스와는 독성이 비교도 안 된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 ... ...
Part 3. 강함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비둘기 날갯짓 ▶ 3D 가상 새 “새가 나는 모습을 한 번이라도 제대로 본 사람은 그것이 경이롭다는 데 동의하지 않을 수 없을 겁니다. 비행기로는 어렵고 복잡한 이착륙도 새는 날갯짓 한번으로 가뿐히 해내죠. 새에 대해 아직 연구할 게 많다는 뜻입니다.” 이제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새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