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식지
산지
생육지
뉴스
"
서식환경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멸종동물 다이어울프 '부활'에 줄비판…"유전자 바꾼 회색늑대 불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0
2024년 10월 1일 태어난 '다이어울프' 로물루스와 레무스. Colossal Biosciences 제공 생명공학 기술로 멸종동물을 복원하는 미국 기업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시스(콜로설)'가 멸종된 다이어울프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하자 과학자들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다이어울프 연구를 포함해 콜로설에서 진행하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 온도 4도 오르면 양서류종 7.5% 못 견뎌
동아사이언스
l
2025.03.29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동남아시아 열대우림에서 발견되는 개구리인 ‘긴코뿔개구리’의 모습이 실렸다. 긴코뿔개구리를 비롯한 양서류는 기후 변화에 매우 취약한 생물군이다. 지구온난화로 습지나 연못 등이 줄어들면 생활 공간을 잃고 번식 또한 어려워진다. ... ...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구상나무가 한라산에서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25.03.29
김종우 제공 1월 31일 제주 한라수목원에서 백골이 된 구상나무를 만났다. 하얗게 말라붙은 나무는 한라산 꼭대기에서 약 100년을 살다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사이 한라산 구상나무 숲은 많이도 작아졌다. 2024년 9월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에서는 한라산의 구상나무 숲 ... ...
[동물do감] 상어, '침묵의 살인자'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리그상어(Mustelus lenticulatus) 이미지. Paul Caiger 제공 상어는 '침묵의 살인자'로 유명하다. 소리를 내지 않고 먹잇감에 은밀히 다가가 사냥을 하기 때문이다. 알려진 것과 달리 처음으로 상어가 소리가 낸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미국 우즈홀 해양학 연구소 연구팀은 리그상어(Mustelus lenticulatus)가 ... ...
산불로 사라진 산 그리고 삶… 과학이 되살리는 방법
과학동아
l
2025.03.27
2023년 4월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로 산뿐만 아니라 120여 채의 건물까지 소실됐다. 타버린 산은 여러 사람들의 나무 심기를 통해 복원된다. 연합뉴스 제공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엔 모든 것을 내어주고 검게 타버린 산과 그곳을 터전 삼았던 인간들이 남는다. 남겨진 이들은 멈추지 않는다. 다시 ... ...
산불 '질식'시키는 토종 산불지연제도 안통한 의성 산불
과학동아
l
2025.03.26
2월 7일 경기 포천에 위치한 국가산불실험센터에서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연구원들과 함께 산불 실증실험을 진행했다. 과학동아 제공 1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산불이 맹렬히 번지는 동안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것이 있었다. 거리 곳곳을 뒤덮은 분홍색 가루, 산불지연제 '포스첵'이다. 상 ... ...
[동물do감] 교통 소음에 '분노' 표출하는 야생 조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는 노랑휘파람새. Caglar Akcay 제공 차량 소음에 자주 노출되는 새일수록 공격성이 높아지는 등 교통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야생 조류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영국 앵글리아러스킨대와 오스트리아 빈대 콘라드 로렌츠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갈라파고스 제도 ... ...
[동물do감] 뗏목 타고 태평양 8000km 횡단한 피지섬 이구아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남태평양 피지섬 코코넛 나무 위에 있는 피지 크레스티드 이구아나(학명 Brachylophus vitiensis). Nicholas Hess 제공 남태평양 피지섬에 사는 이구아나들이 3400만년 전 북미 서부에서 나무조각 등 '뗏목'을 타고 태평양을 8000km 횡단해 정착한 사막 출신 이구아나의 후손이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육상동물 ... ...
동물 배설물로 멸종 위기종 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동물의 배설물에 든 살아있는 세포로 멸종 위기종을 보호하는 방법을 찾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동물 배설물에 포함된 세포가 멸종 위기종이 사라지는 것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배설물 내에 포함된 세포가 특정 종의 유전적 다양 ... ...
미국 전역서 나비 개체수 20년간 22%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3.07
웨스트코스트 레이디(Vanessa annabella) 나비는 수분 매개자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애벌레 단계에서 새에게 영양분 높은 식량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에 의해 서식지를 잃고 살충제 남용으로 지구상에서 나비수는 나날이 감소하고 있다. 미국 전역에서도 나비 개체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