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없을 뿐만 아니라 곡가무일체에게 학습시킬 3D 안무 데이터 자체가 거의 없다. 때문에
연구진
은 유튜브에 공개된 안무 동영상에서 직접 3D 데이터를 추출하는 인공지능도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공지능은 체스, 바둑 등 게임에서 인간을 놀라게 했다. 하지만 규칙과 승패가 정해진 게임과 ... ...
[과학뉴스] ‘새벽 오로라’의 비밀 최초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가지고 있다. 그중 새벽에 주로 나타나는 맥동하는 오로라의 발생 메커니즘을 국제 공동
연구진
이 최초로 밝혔다. 사토시 카사하라 일본 도쿄대 지구및행성과학과 교수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은 2015년 발사한 ‘지오스페이스 탐사위성(ERG)’의 특수 센서로 오로라 내 전자의 산란 현상을 관측했다. 그 ... ...
[과학뉴스] 자폐증 일으키는 유전자 ‘삼돌이’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발생과 발육에는 문제가 없지만, 불안감, 고소공포증 등 감정조절 장애를 나타냈다. 또
연구진
은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 3만2000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연구를 진행한 결과 삼돌이 유전자가 자폐증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6일자에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사이에 금으로 만든 뼈대를 넣고, 뼈대 주변을 쥐의 심장근육세포 약 20만 개로 채웠다.
연구진
은 이 세포가 파란빛을 쬐면 수축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했다. 빛을 받은 심장근육세포는 칼슘이온을 내보내면서 수축하고, 이 자극이 세포를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세포들이 파도타기 하듯 차례대로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주간 먹인 쥐에게 변비를 유발했더니, 이 경우에도 대부분 건강한 상태의 분변을 보였다.
연구진
은 지난해 4월 미국에서 열린 ‘미국실험생물학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윤 연구원은 “유산균 초콜릿을 섭취한 쥐의 분변에서 유익균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비피더스균은 12배,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사태가 평창에서 반복되지는 않을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컨트롤센터(DCC)
연구진
이 선수들에게 채취한 소변 시료를 분석하고 있다. DCC는 연간 6000개의 시료를 처리하고 있다.2. 금지약물을 복용했을 경우 채취한 소변 시료에는 미량의 대사체가 길게는 2~3개월까지 남는다. 이것을 정밀한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닥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FACT A미국국립기상연구소와 스위스취리히공대
연구진
은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이행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지구의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2도 이내로 상승 억제하는 ‘2도 목표’ 달성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위와 같은 결론이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이 가운데 2012년 11월 2일 처음 포착된 ‘FRB121102’은 유일하게 두 차례 이상 발생했다.
연구진
은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천문대에 있는 윌리엄고든망원경에서 FRB121102의 신호를 16차례 반복적으로 감지한 뒤 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파열음은 높은 ‘패러데이 회전율’을 갖고 있었다. 패러데이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
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밀폐된 터널 안이 삽시간에 검은 연기로 가득 찼다. 심지어 터널 밖에서 지켜보는 기자와
연구진
쪽으로도 유독가스가 넘어오는 상황이었다. 신현준 선임연구위원은 “에어커튼 가동!”을 외쳤다. 순간 터널 출구 천장에 설치된 에어커튼이 날개(블레이드)를 15도 각도로 움직이더니 공기를 초속 30m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