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진"(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괌 앞 바다산에 출연연 이름 붙는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로 약 35km, 세로 약 33km, 높이 약 4000m에 이르는 거대한 원추형 지형이다(위 왼쪽 사진). 연구진은 향후 키오스트 해산을 ‘구글 어스’ 등 인터넷 지도에 등재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올해 안으로 국제수로기구(IHO) 산하 해저지명소위원회에 제출해 세계 공식지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할 ... ...
- Intro. 갑작스런 화재 ‘골든타임’ 지키는 건설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밀폐된 터널 안이 삽시간에 검은 연기로 가득 찼다. 심지어 터널 밖에서 지켜보는 기자와 연구진 쪽으로도 유독가스가 넘어오는 상황이었다. 신현준 선임연구위원은 “에어커튼 가동!”을 외쳤다. 순간 터널 출구 천장에 설치된 에어커튼이 날개(블레이드)를 15도 각도로 움직이더니 공기를 초속 30m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뇌를 완벽하게 얼렸다가 해동시킨 첫 연구 사례도 나왔다. 미국 브레인프리저베이션재단 연구진은 실험용 토끼의 뇌를 냉동 보존한 지 5년 만에 별 다른 손상 없이 해동하는 데 성공했다.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지만 뇌는 냉동인간 기술의 난제로 남아있는 만큼 냉동인간 기술의 돌파구가 제시된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태가 평창에서 반복되지는 않을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컨트롤센터(DCC) 연구진이 선수들에게 채취한 소변 시료를 분석하고 있다. DCC는 연간 6000개의 시료를 처리하고 있다.2. 금지약물을 복용했을 경우 채취한 소변 시료에는 미량의 대사체가 길게는 2~3개월까지 남는다. 이것을 정밀한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산호의 생식력이 그렇지 않은 산호에 비해 4배 이상 높기 때문이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키운 건강한 아기산호를 퇴화된 암초에 이식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카리브해 지역에서 90% 가량 멸종한 ‘석산호(staghorn coral)’를 배양한 뒤 바다에 이식했다. 이식된 산호는 야생 산호와 ...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함께 북극해 해저의 ‘진흙화산(mud volcano)’을 탐사하기 위해 아라온호에 올라탔다. 국내 연구진이 진흙화산을 탐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바다 밑 진흙화산 수천 개 지구상에는 깊은 땅속에 묻혀 있는 물질이 다시 땅 위로 올라오는 현상이 많다. 용암을 분출하고 재를 뿜어대는 화산과, 지각이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닥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FACT A미국국립기상연구소와 스위스취리히공대 연구진은 ‘파리기후변화협정’을 이행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지구의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2도 이내로 상승 억제하는 ‘2도 목표’ 달성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위와 같은 결론이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월 30일 일본에서 열린 ‘2017 국제 로보컵 대회’ 소셜 홈로봇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연구진은 일본 소프트뱅크의 로봇 ‘페퍼’에 직접 개발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탑재했다. 이 로봇은 가정환경에서 사람과 사물, 환경을 인식하고 언어를 이해해 자율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불리는 이 로봇은 쥐의 뇌 세포와 연결된 전극판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움직여요. 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바퀴 두 개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지요. 사람의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화학물질 오염, 산성도(pH)나 온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 응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패치에 ‘살아있는 문신’이란 이름을 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2017년 12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02/adma.20170482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