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응용과학"(으)로 총 2,13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히트 비전은 가상의 빔(beam)이지만 빛으로 에너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레이저 무기와 유사하다. 레이저 무기는 높은 에너지의 빔을 쪼여 목표물을 녹이거나 증발시킨다. 레이저 무기는 요격 속도가 빛의 속도(초속 30만km)로 매우 빠르다.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보다 5만 배 빠른 속도다. 운용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889년 과학자들은 1kg 금속을 질량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들은 이 ‘킬로그램 원기(原器)’는 금고에 보관하고, 동일한 질량을 가진 복제본으로 세상 모든 물체의 질량을 따졌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원기와 복제본의 무게가 주변 환경에 따라 미세하게 변했던 것. 과학자들은 영원히 변치 않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추석 연휴 동안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중력파는 검출된 시점부터 물리학상을 받을 걸로 예상돼 왔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극저온전자현미경, 생체시계 연구도 ‘왜 진작 노벨상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중요한 업적이다. 그런데 사실 강력한 수상 후보가 ... ...
- [Career] ‘밀당 로봇’으로 맞춤형 운동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의 근기능을 측정해 과학적으로 운동하도록 돕는 로봇을 개발할 겁니다. 이를 활용해 우리가 아직 모르는 인체의 신비를 밝히는 게 목표입니다.” 오세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자신의 첫 박사과정 제자인 이찬 연구원과 함께 ‘운동 도우미’ 로봇을 개발하고 있 ... ...
- [과학뉴스] 금붕어가 산소 없이 겨울 나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괴란 닐손 노르웨이 오슬로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스티안 엘르프센 인랜드노르웨이응용과학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금붕어를 산소 환경과 무산소 환경에 각각 노출시킨 뒤, 골격근의 단백질을 조사했다. 그 결과, 붕어의 근육에는 척추동물이 가진 보통 단백질뿐만 아니라 또 다른 단백질이 추가로 ... ...
- [Issue] 우사인 볼트는 왜 영원할 수 없나, 근육 노화로 풀어 본 스프린터의 숙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확대)▼‘지구에서 가장 빠른 인간’이 8월 트랙을 떠났다. 올림픽 금메달 8개, 세계선수권대회 11차례 우승 등 ‘살아있는 전설’로 불린 우사인 볼트가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7년 국제육상경기연맹 세계선수권대회를 끝으로 은퇴했다. 이번 대회에서 볼트는 남자 100m 결선에서 3위에 그치면서 허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유인원들의 리더, 시저가 돌아왔다.’영화 ‘혹성탈출’ 3부작의 마지막 편인 ‘종의 전쟁’이 8월 15일 개봉했다. 1968년 이후 이어진 혹성탈출 시리즈로는 일곱 번째로, 대미를 장식하는 영화다. 2011년 처음 개봉한 이번 시리즈는 특히 고도의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을 총동원해 유인원을 사실감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MC 유: 킁킁. 음~. 맛있는 냄새가 솔솔 나네요. 땀을 많이 흘려서 입맛이 없을 만도 한데 밑반찬을 보자마자 젓가락을 집어 드는 우리의 박사님들. 가만, 아까 맥너겟을 10상자나 드셨잖아요! MC 유: 다들 벌써 배가 꺼진 건가요. 맥너겟을 먹은지 30분도 안 된 것 같은데요! 잡학 박사: 쩝쩝. 그게 아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X는 누구일까. 내가 X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민정과 똑같은 이름, 나이, 본적, 그리고 주민등록상에 남아 있는 오래된 사진 뿐. X는 어떻게 생긴 사람일까. 도대체 지금은 어디에 있는 걸까. 진원은 민정의 방에서 발견한 신원불상의 DNA를 분석하면 얼굴을 추정해낼 수 있을 거라고 했다. X의 얼굴이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2017년 8월 21일(현지 시간), 오전 10시 17분부터 오후 2시 35분까지 미국 대륙을 횡단하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 일식은 신비로운 현상일 뿐 더 이상 연구할 것은 없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과학자들은 태양의 신비를 밝히기 위해, 짧은 시간 동안 다양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개기일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