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돌수학] 숙소 방 배정은 수학으로 해결! '레드벨벳'수학동아 l2020년 03호
- 3명이 제시한 월세가 완전히 같아지는 지점이 나온다. 이 지점이 완벽히 ‘공평한’ 분배 지점이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1만 원 정도의 차이까지만 가도 무시할만한 수준이라고 본 수는 더 쪼개지 않고 이 순간의 차액을 모아 중개수수료 등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복잡하다면 방 분배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카메라를 통해 답변을 하는 지원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분석한다. 얼굴에서 68개 지점의 변화를 포착해 안면근육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표정과 주요 감정을 확인한다. 동시에 지원자의 목소리 톤, 크기, 휴지(쉼), 음색, 속도 등을 분석해 지원자의 말투와 어조, 감정, 면접의 신뢰도도 알아낼 수 있다.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산으로 둘러싸여 유리한 조건이었다. 발사방위각도 1단 낙하지점이 제주도에, 3단 낙하지점이 인도네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는데 제한된 범위에서 가능했다(자세한 내용은 2019년 9월호 124쪽 ‘비하인드 로켓’ 기사 참조). 발사대를 비롯한 지상설비의 설계는 발사체 1단과 마찬가지로 ... ...
- 위치 정보로 과거의 사건을 재구성 하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전기에 비해 고분의 수는 늘었지만, 분포 패턴은 거의 비슷합니다. 특히 고분이 몰려있는 지점이 동일합니다. 마을의 수가 늘어난 게 아니라 특정 마을의 크기가 커지고 사람이 집중됐다는 의미입니다. 4. 권력을 가진 자가 중심을 꿰찼다 아라가야의 전기와 후기 고분을 네트워크 분석하니 두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중에도 연구팀이 해야 할 일은 산더미다. 운송 중에, 그리고 경유지를 비롯한 각 주요 지점에 도착했을 때 위성에 이상이 없는지 검사해야 한다. 발사장에 도착하고 난 뒤에는 더 정밀한 점검이 필요하다. 또 위성을 우주에 올려 줄 발사체와도 잘 연결됐는지 확인해야 한다.최 단장은 “천리안 2A호 ... ...
- [한페이지 뉴스] 말미잘처럼 쓱~ 집는 소프트로봇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물체를 소프트로봇 안쪽 2cm 지점에 넣었을 때는 3.24N의 힘을 발휘했지만, 안쪽 6cm 지점에 넣었을 때는 20.16N의 힘을 발휘해 더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었다.장 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물건의 크기, 모양 등에 구애받지 않고 물건을 효율적으로 집을 수 있다”며 “산업 현장이나 심해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정말 좋은 장소니까요.” 김 박사의 대답은 명쾌했다. 지구의 가장 남쪽, 남위 90도 지점인 남극점은 대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고 해발고도가 2830m가 넘는 고지대라 대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게다가 남극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사막이다. 남극점에 수북한 눈은 바람을 타고 온 얼음 결정들이 쌓인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작업의 첫 단계는 점 데이터에 GPS 측정기로 얻은 절대 좌푯값을 입히는 겁니다. 각 지점 에서 얻은 최초의 점 데이터는 스캐너가 촬영한 위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갖기 때문에 GPS 기준의 좌표계로 통일시켜야 비로소 의미 있는 ‘정보’가 되죠. 정보가 된 점들은 측량 이후 컴퓨터 ... ...
-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했어요. 성근이는 집 근처 대화천에서 5개 지점을, 저는 집 근처 굴포천에서 5개 지점을 조사하며 총 10개의 고정 조사구를 일주일 간격으로 탐사했답니다. 그 결과 생태계 교란 식물이 토종 식물의 생장을 심각하게 방해한단 사실을 알아냈죠.Q 와! ‘우점도’라니, 전문가의 향기가 나요!연주 습지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0이는 금성의 대기층에 뭔가 변화가 생겼다는 의미였습니다. 금성의 대기에는 지상 50~70km 지점에 두께가 약 20km인 두꺼운 황산 구름층이 있는데, 이것은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고 산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이 황산 구름층 속에는 미확인 흡수체가 존재합니다. 미확인 흡수체는 행성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