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2020 브레이크스루상 수학상, 알렉스 에스킨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마술 지팡이 정리’를 증명해 다각형의 모든 내각이 유리수면 유한개 점을 뺀 모든 지점을 지난다는 사실을 밝혔지요. 마술 지팡이 정리는 에스킨 교수가 2017년 타계한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 마리암 미르자하니와 함께 증명한 뒤 발표한 정리입니다. 만약 미르자하니 교수가 살아있었다면, ... ...
- [JOB터뷰] 단서를 찾는 사람에서 만드는 사람으로 방탈출 게임 제작자 김광수 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방탈출 게임은 몇 분 만에 탈출하는지를 보는 랭킹 게임이에요. LTE 팀으로 활동하며 지점마다 상위 랭킹에 이름을 올려 조금씩 유명해졌어요. 그러다 방탈출 게임 카페를 운영하시던 한 사장님께서 테마를 직접 만들어 보지 않겠냐고 제안하셨죠. 방탈출을 많이 해 봤으니 테마도 잘 만들 거라고 ... ...
- [가상인터뷰] 게와 새우를 합쳐놓은 듯한 게 화석 '키메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등의 공동 연구팀이 우리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어. 발굴 지점을 근거로 키메라는 현재의 콜롬비아, 북아 프리카, 미국 등에 살았다고 밝혔지. 친구들을 위해서 네 모습을 자세히 설명해줘. 화석을 복원한 결과, 연구팀은 우리가 500원짜리 동전 크기만큼 매우 작고, ...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강조했습니다. 그는 “해양방사능 감시체계를 제주도 남방 지역까지 확대해 총 32개 지점에서 적게는 3개월에 1번씩, 많게는 2주에 1번씩 해수의 변화를 관측하고 있다”며 “장단기 변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오염수 유입 여부를 정확하게 알고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범죄 현장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 찾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피가 직선으로 뻗어간다고 가정하고 피의 모양과 방향에 맞춰 실을 연결해 피가 발생한 지점을 찾는 거죠. 하지만 연구팀은 실 연결법이 중력이나 공기의 항력, 핏방울 사이의 상호작용 같은 물리적인 현상을 무시해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유체역학을 고려해 피를 ... ...
- 산불 철저하고 확실하게 대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여기서 채널은 위성이 볼 수 있는 파장을 의미하지요. 즉 열에너지를 분석해 산불의 발화 지점이나 피해 면적을, 연기를 보고 산불의 이동 방향을 알아내는 거예요. 이 분석에는 기상청이 개발한 알고리즘이 활용된답니다. 현재는 센서가 제대로 기능을 하는지 시험 중이에요. 국가기상위성센터 ...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설정할 수밖에 없다. 발사체의 비행을 강제적으로 중단시키는 경우에는 발사체가 그 지점에서 바로 낙하하지 않고 관성력에 의해 더 멀리 날아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순간낙하점 한계선). 이를 사전에 판단하고 폭파 명령을 내리기까지의 시간 지연을 고려해 비행종단 한계선은 순간낙하점 ... ...
- 산불이 매년 찾아오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타고 바싹 마른 산으로 옮겨 가 빠르게 번졌지요. 인제와 강릉-동해 산불은 아직 발화지점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산불의 원인을 지구 단위에서 찾기산불 발생의 원인을 아시아의 기후로 설명하려는 과학자도 있어요. 작년 전남대학교 정지훈 교수팀은 아시아 주변의 해양 온도, 대기 ...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설치하고 주시해 왔지요. 이날 이 교수는 “포항 지열발전소는 약 4.5km 깊이로 두 지점에 구멍을 뚫었기 때문에 땅속 깊이 있는 단층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그 결과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답니다. 하지만 당시, 지열발전소가 미친 영향은 적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었어요.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한 파이프에서만 3783m 깊이에서 카메라가 더 내려가지 않았어요. 연구단은 이를 통해 3783m 지점을 지나가는 단층이 있고, 지진이 날 때 단층이 어긋나며 그 파이프를 부러뜨렸다고 추정했답니다. 즉, 연구팀은 한 파이프에 고압의 물을 넣을 때 한 단층면에서 작은 지진들이 발생했고, 작은 지진들이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