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차
레일
철길
철로
선로
기차길
기차선로
d라이브러리
"
철도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다테야마 立山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나 있으며 구로베협곡의 기점이기도 하다.구로베협곡은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협궤
철도
를 타고 우나쓰키로부터 게야키다이라(櫸平)까지 약 20km의 V자 계곡을 달리며 경관을 즐기게 한다. 도중 가네쓰리(鍾釣)에 내리면 눈앞에 펼쳐지는 만년설과 함께 노천 온천욕의 묘미를 맛볼 수 있다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곳에서도 지구로 송신을 계속해오고 있는 것은 바로 이 연료전지의 덕택이다.플루토늄은
철도
도로 해상 또는 항공 수단에 의한 수송이 가능하다. 도로 수송에서는 1대의 트럭에 적재할 수 있는 플루토늄 격납용기의 수가 일반 차량의 법정 중량 제한치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규칙에 의하여 ... ...
첨단 수송장치 PRT현실화될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Transit)라 불리는 이 시스템은 택시의 편리함과 버스의 효율을 조합해 놓은 것이다. 또한
철도
시스템보다도 값이 쌀 것이라고 한다.이러한 운송시스템이 과연 가능할까. 현재는 앤더슨의 컴퓨터 속에서만 존재하지만 오래지 않아 그것은 현실화될 것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PRT가 자신의 껍질을 ... ...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자기 부상 열차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박찬일 부장팀에게 부상제어기 개발을 의뢰했다.부상과 추진 외의 모든 연구개발은
철도
차량연구소 내에 10여명의 연구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마그레브팀(팀장 정인대)을 구성, 일임했다. 89년 9월부터 팀을 구성해 산학연(產學研) 공동개발을 추진한 결과 91년 8월에는 첫 성과를 낼 수 있었다.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있어서 세계적이다. 이 분지상의 대칼데라의 한 가운데에는 마을이 줄지어 있으며,
철도
와 도로가 달리고 있다. 관광의 중심은 아소5악중 유일한 활화산인 중악이다. 둘레 4km, 깊이 1백25km의 거대한 원추상의 분화구에서는 수증기와 유황을 분출한다.살아있는 30만년의 역사 외륜산의 밑에서 볼 수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현재 중국정부는 이곳 사막에서 핵실험을 하고 있으며 사막을 개발하기 위해서 남강
철도
(南疆鉄道)를 부설하고 있다. 이곳 사막의 기후는 건조기와 습윤기가 몇차례 바뀌어 그때마다 사막의 넓이가 확대·축소되고 있으며, 이곳 사막에서 폐허화된 오아시스 도시를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장세월에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하다. (5) 태극은 음양(영어로는 Yin, Yang)으로 구성돼 있다. 그 형태는 '북캘리포니아
철도
회사'의 로고이기도 한데, 이 회사의 설계담당 중역이 1893년에 열린 시카고 세계박람회에서 우리나라 국기에 태극마크가 쓰여진 것을 보고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 형태가 증기기관을 움직이는 불과 물을 ... ...
2 유로네트워크로 「하나의 유럽」 완성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TGV신화로 고속전철왕국이 된 프랑스, 금년 6월 ICE개통과 함께 자기부상열차 개발에도 힘을 쏟는 독일, 그리고 이들이 주축이 되어 유럽 전체를 하나로 ... 제약조건이 될 수도 있으나 그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유럽
철도
기술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져올 것이다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관련이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겠는데 바로 스케줄(schedule)문제다. 가령 우리나라는
철도
노선이 상행선과 하행선 두가지 밖에 없다. 이럴 경우 통일호 무궁화호 새마을호 등 여러가지 기차의 종류를 주고 각각의 기차들에 대한 출발 시각을 결정하는 문제같은 것도 있고 어떠한 것을 이루기 위해서 ... ...
신행주대교 붕괴사고 계기로 본 현대교량 그 종류와 장단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브리타니아교(Britannia Bridge)가 건설되었다. 1855년에 미국에서는 나이아가라폭포 하류에
철도
교와 도로교를 겸한 나이아가라현수교가 뢰블링(Roebling)에 의해 건설됐다.현수교에서 사장교로1796년 핀리(James Finley)에 의해 세계 최초로 현수교의 장을 연 미국은 1855년 나이아가라 현수교, 1883년 뉴욕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