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차
레일
철길
철로
선로
기차길
기차선로
d라이브러리
"
철도
"(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예술이나 문화 그리고 요리와 포도주에 대한 자부심은 상당히 크다.하수구시설이나 지하
철도
파리의 또 다른 자랑거리다. 실제로 지하하수도의 일부가 관광코스의 하나로 지정되고 있다. 파리 전역을 연결하고 있어 가장 편리한 교통수단으로 꼽히고 있는 파리지하철이 첫 선을 보인 것은 1900년 7월 ... ...
잃어버린 구석기 역사를 복원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등이 참여한 가운데 1935년 7월부터 2차 걸쳐 본격적으로 발굴조사 됐다.이때 발굴조사는
철도
부설 공사때문에 산허리가 잘려 나간 북쪽(北面斷崖)에 1.5×26m, 서쪽(西面斷崖)에 1.5×24m 되는 범위에서 이뤄졌으며 그 결과 6개의 층위중 3개의 층에서 유물과 뼈화석들이 확인됐다(단면도 참조).다시 ... ...
새로운 교통체계 오반 시스템 실용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최근 세계에서 가장 길고 빠른 궤도 버스 시스템이 완공됐다 언뜻 보면 마치
철도
위를 버스가 달리는 것처럼 보이는 이 시스템은 오반(O-bahn)시스템이라 명명됐다. 이 기법의 주안점은 쇠로 만든 작은 선로의 버팀대가 버스의 조그마한 고무바퀴를 '버스궤도'의 얕은 홈에 자리잡게 해줌으로써 ... ...
PART Ⅲ 전문가시스템의 성공사례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않은 사람도 쉽게 적응시킬 수 있도록 했다.□SMP/
철도
고장의 해결사SMP는 벌링턴 노던
철도
회사에서 선워크스테이션과 리스프(LISP)언어를 이용해 구축한 전문가시스템, SMP는 서로 다른 기차가 같은 트랙을 사용할 때, 혹은 선로 수선 승무원들이 선로 보수 시간을 예정된 시간 보다 더 많이 요구할 ... ...
PARTⅠ 뉴미디어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부가가치서비스'로 업무의 중심이 변해갔다. VAN이 가장 발달한 나라는 미국. 항공VAN
철도
VAN 금융VAN 등 다양한 서비스를 보유한 미국이 최근 한·미간 통신협상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방을 요구한 핵심내용이 VAN이었다.국내에는 한국데이타통신이 현재 독점적인 VAN사업을 하고 있으나 ... ...
PART Ⅳ 자기부상열차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오는 2천년 도쿄와 오사카간에 시속 5백km의 자기부상열차를 운행한다는 목표아래 일본
철도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야마나시 지방에 43km의 시험궤도를 세우고있다. 이미 시속 5백17km의 무인시험운행에 성공한 바 있는 일본은 74년 서독에서 기술을 들여와 도시내 운송을 위한 시속 1백km 2백km 3백km급의 ... ...
PARTⅢ 아피안에서 첨단도로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개발은 새로운 산업활동을 자극, 경제체계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중공업시대(주로
철도
와 해운수송)에서 경공업시대로 산업사회가 변화되면서 도로를 이용한 수송이 크게 증가했다. 예를 들어 사람의 통행의 경우, 1962년에는 전체 통행량의 48%를 도로가 분담했다. 그러나 1988년에는 74%로 ... ...
PART4 주차난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도시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그런데 여기서 유의할 점이 있다. 그곳이
철도
교통의 종점이 되지않게 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일단 서울로 올라와야만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그래야만 이 신도시들이 서울에만 의존하지 않는 자생력있는 도시로 성장할 수 ... ...
PARTⅠ 도시교통문제를 보는 시각 달라져야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우리도 앞으로 10년 이내에 보유대수가 적어도 1천만대를 상회할 것이라고 한다.그런데
철도
와 같은 대중교통수단과는 달리 개인 승용차는 개인에게 기동성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도시의 성장을 부채질했다. 자동차 때문에 인구집중이 평면적으로 확산돼 대도시가 점점 더 비대화된 것이다 ... ...
모헨조다로와 하라파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68년 전의 일이다. 먼저 발굴되기는 하라파유적이었다.1920년 카라치와 라호르 사이의
철도
를 놓던중 우연히 하라파유적이 빛을 보게 되었다. 그로부터 2년후인 1922년에 모헨조다로 발굴작업이 시작된 것이다. 최초의 발견자는 고고학자 바네르지박사였다. 그의 조사팀이 카니시카왕이 만들었다고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