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뉴스
"
덩어리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
2020.02.25
소금 결정이 형성된다. 수분이 증발할수록 결정이 더 커지고 결국 쌀알만한 소금 결정
덩어리
들이 잔뜩 만들어진다. 그런데 염전의 정확히 어느 지점에서 어느 방향으로 개별 결정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할지는 알 수 없다. 동일한 염전에 동일한 양의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이 존재해 동일한 양의 ... ...
당뇨병 정밀진단 2시간만에 가능한 형광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이식 치료 성공 여부도 관찰 가능하다. 췌장섬은 췌장 세포가 모여 섬처럼 보이는 세포
덩어리
다. 연구진은 쥐에서 분리한 1000개의 췌장섬을 생쥐의 간문맥으로 이식하고 PiF를 다음날 주사한 결과 췌장섬을 이식한 쥐의 PiF 형광신호가 이식을 받지 않은 쥐의 간보다 현저히 높았다. 연구진은 또 PiF의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약 66억 ㎞ 떨어진 소행성이다. 태양계에서 가장 먼 행성인 해왕성 너머 얼음과 암석
덩어리
로 이뤄진 소행성 무리인 카이퍼벨트 속에 있다. 아로코스는 인류가 우주선을 보내 탐사한 천체 중 가장 멀다. 과학자들은 이 천체에서 45억 년 전 태양계 행성의 비밀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2.08
주먹만 하든 전봇대만 하든 금
덩어리
의 색을 양쪽 모두 노란색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금
덩어리
를 쪼개고 쪼개서 수㎚ 크기의 금 알갱이로 만들면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 색이 나타난다. 금 입자가 7㎚일 때는 빨간색, 5㎚는 초록색, 3㎚는 파란색을 띤다. 금과는 조금 다른 이유지만 나노크기의 ... ...
치료법 없는 신종 코로나, C형간염·에볼라·에이즈 치료제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필요한 효소인 단백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원리다. HIV 등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서 단백질
덩어리
를 만든 뒤 단백분해효소로 잘게 자르면서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든다. 시중에는 이 두 가지 약물로 구성된 약제인 칼레트라도 나와 있다. 두 약물이 코로나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한다는 효과는 ... ...
쓸모없는 지방
덩어리
, 알고보니 ‘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의료신소재TF팀이 인체 폐지방에서 세포외기질을 추출해 오가노이드 칩을 개발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폐지방에서 추출한 콜라겐을 동결 건조한 모습.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제공 병원에서 지 ... ...
'꿈의 물질' 그래핀 적층 순서 제어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불리는 그래핀은 차세대 전자소재로 주목받는 물질 가운데 하나다. 육각형 탄소
덩어리
가 평면을 이룬 형태인데 이런 그래핀을 여러겹 겹치면 성질이 크게 달라진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래핀을 겹치는데는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한계를 극복한 그래핀 구조 제어기술을 ... ...
‘미세먼지 없애는 음악’ 음파 기술로 작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미세먼지와 전혀 관련 없는 연구를 수행하던 도중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육각형 탄소
덩어리
가 얇은 판을 이루는 차세대 소재인 그래핀을 연구하기 위해 라만 분광기로 측정하는 도중 파장에너지에 의한 매질 내 입자거동을 생각하게 되었다. 라만 분광기는 물질에 레이저를 쏘아 일어나는 진동으로 ... ...
'허블우주망원경' 외계행성 찾아줘서 고마워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미국 우주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2019년 초 태양계에서 가장 먼 해왕성 너머 얼음
덩어리
벨트인 ‘카이퍼벨트’의 소행성 ‘울티마 툴레’로 가는데에는 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 이미지가 길라잡이 역할을 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상상도. NASA 제공. 허블우주망원경의 바통을 이어받을 ... ...
첫 관측 블랙홀서 빛 99% 속도 물질분출 확인
연합뉴스
l
2020.01.09
특성을 이용해 블랙홀에서 약 900광년과 2천500광년 떨어진 곳에서 포착된 제트 안의 물질
덩어리
가 2012년과 2017년 사이에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900광년 떨어진 곳의 물질은 5년 사이에 빛의 6.3배, 2천500광년 밖 물질은 빛의 2.4배 속도로 움직인 것으로 측정됐다. X선으로 측정된 M87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