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593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급 '방수' 기술 개발…"오염방지 효과 탁월"
동아사이언스
l
2023.10.24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표면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표면은 나노
미터
수준에서 물방울과 표면 간의 마찰력이 발생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표면을 실리콘 표면 위에 코팅해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개발된 표면 중 물방울이 가장 잘 미끄러지는 표면인 것이 확인됐다”며 "분자 ... ...
중성자 시설 '하나로' 이용, 2차전지 수명 연장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크게 늘릴 수 있다. 다만 하이 니켈 양극재는 합성이 어려운데다 입자 내부에 0.1~300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미세한 기공이 발생해 수명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연구를 통해 합성 조건에 따라 기공의 크기와 개수가 달라진다는 점이 일부 밝혀졌으나 기공이 정확히 얼마만큼 ... ...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10.21
얇게 남아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낸 것이다. 테이프 표면에는 과연 수 nm(나노
미터
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흑연 층이 남아있었다. 이렇게 간단할 수가. 전 세계 연구팀이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그래핀을 만드는 비법은 겨우 스카치테이프였다. 이후 가임 연구팀은 1년 넘게 흑연 표면에 ... ...
서울 면적보다 10배 큰 '빙산' 떨어져나온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녹거나 쪼개지지 않고 빙하와 연결된 채 물에 떠 있는 거대한 얼음덩어리다. 보통 수백
미터
두께에 이른다. '남극의 보호막'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빙붕이 남극대륙 위 빙하가 바다로 흘러가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외부에서 유입되는 따뜻한 바닷물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 ...
리튬금속전지 안전성 높였다...무음극 집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17
구현했다. 리튬 덴드라이트 성장을 제어하는 데 있어 최적의 구조(기공 12㎛(마이크로
미터
), 두께 17㎛)를 갖는 3차원 다공성 구리 집전체를 설계했다. 이 집전체는 전해도금 기술을 활용해 설계했다. 전해도금 기술은 전기화학적인 방법으로 수용액 속 금속을 전도성 재료 표면에 환원 석출시키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100경분의 1초 뛰어넘는 '젭토초' 바라본다
2023.10.17
아고스티니 박사와 같은 CEA 연구실에 있던 륄리에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1988년 1064 나노
미터
의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고차조화파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doi : 10.1088/0953-4075/21/3/001) 고차조화파는 레이저와 같이 결맞음 특성을 가지며 극자외선 또는 엑스선 영역에 해당하는 넓은 주파수 영역을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전자가 원래 있던 자리에 남은 구멍 ‘정공’이 생긴다. 그런데 반도체의 크기를 수 나노
미터
수준으로 줄이면 전자와 정공이 움직일 공간이 제한되고, 이 둘이 전기적인 인력에 의해 좁은 공간에 묶이게 된다. 이를 양자구속효과라 부른다. 반도체 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전자와 정공이 ... ...
하반기 여성 엔지니어상에 김양현·유혜승·천인숙
동아사이언스
l
2023.10.16
14나노 D램 원천 공정(EUV 5-layer 기술) 기술과 초고속 데이터 입출력 설계 기술(14나노
미터
신뢰성 확보 회로)은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DDR5제품 시장 경쟁력을 높여 대용량 처리가 요구되는 컴퓨팅 시장을 선점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유 수석연구원은 “앞으로도 세계 ... ...
햇빛만 있으면 ‘미세플라스틱’ 제거하는 청바지 염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2
일으키고 그 결과 안정화된 응집물이 형성된다. KIST 제공. 햇빛이 있으면 물 속 20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
미터
)보다 작은 미세플라스틱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최재우 물자원순환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가시광이 조사되는 ... ...
새로운 양자컴퓨터 초읽기…국내 연구진 주도 ‘전자스핀 양자비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새로운 양자컴퓨터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물질이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크기인 1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크기의 양자비트(큐비트)를 사용하는 '양자비트 플랫폼'이다. 양자비트 간 정보교환에 필요한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용이해 양자비트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는 평가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