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충전시간 확 줄인다…3kV급 전력반도체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등 전력 사용이 많은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ETRI는 "1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도금공정을 이용한 4인치 모스펫 소자 상용화 기술을 개발 중"이라며 "세계 최초로 수 kV급 산화갈륨 전력반도체 모스펫 소자를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과기원NOW] 인력 투입 없이 태양전지 먼지 제거 기술 나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1
빠르게 고형화돼 구조를 유지했다. 연구팀은 입자 간 상호작용을 조절해 10μm(마이크로
미터
) 이하의 무기 다공성 구조를 제작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 ...
[과기원NOW] 포스텍,100배 저렴한 센서로 자율주행차 대중화 이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개발한 단파 적외선 분석 OPD를 는 기존 대비 분석 성능이 약 100배 향상됐다. 또 1500나노
미터
(nm) 이상의 적외선 감지에도 성공했다. 연구팀은 "센서를 이용해 기상 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도 주변 도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며 "자율주행 자동차뿐 아니라 3D 센서를 활용하는 증강·가상현실 기기와 ... ...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18.1% 달성…"세계 최고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24.01.28
에서 공인한 양자점 태양전지 중 세계 최고 효율"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은 수십 나노
미터
(nm)의 매우 작은 반도체 결정이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 광전기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은 특히 용매에 뿌리거나 바르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어 차세대 ... ...
인류 첫 지구 아닌 행성 비행 화성탐사 '인저뉴이티' 역사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6
운영팀은 인저뉴이티의 착륙 위치를 정하기 위해 짧은 수직 비행을 하도록 했다. 고도 12
미터
에 도달한 인저뉴이티는 초당 1
미터
속도로 하강을 시작하기 전 공중에서 4.5초 정도 맴돌았다. 이후 지표면 약 1
미터
위에 이르렀을 때 로버와 연락이 두절됐다. 다음 날인 19일 다시 지상 관제사와 ... ...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OLED 효율 장점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탠덤 소자는 페로브스카이트 상단 유기 발광층의 빛이 모두 투과하도록 30 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미만의 얇고 투명한 나노입자 발광체를 사용해 광추출 효율을 극대화했다. 만들어진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소자의 구동 수명은 동일 휘도 기준 1.8시간인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탠덤 소자의 ... ...
방사능 노출 여부, 누구나 불빛으로 즉시 판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모여들기만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복합구조물질을 이룬다. 수십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분의 1
미터
) 크기의 복합구조 물질은 외부 환경에 따라 구형이나 원통형의 구조체로 변형된다. 구조체 모양에 따라 빛의 세기가 달라진다. 에너지의 크기가 100nm 파장 이하로 낮을 때도 감응한다 ... ...
622조원 투입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변모한다. 정부와 기업은 메가 클러스터에서 HBM 등 최첨단 메모리 생산과 2나노
미터
(nm·10억분의 1
미터
) 이하 공정 기반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650조원의 생산 유발효과를 전망하고 있다. ● 핵심 인프라 적기 공급·투자 지원 강화 메가 클러스터의 인프라와 ... ...
미국·일본도 쉽지 않은 달 착륙…2032년 '한국 달 착륙선'은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것이라 전망했다. 예를 들어 달 먼지 분석장치의 경우 주관부처는 제시안인 30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
미터
)로도 충분히 과학기술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전문가들은 이 수치 미만의 특성정보 없이는 달 먼지 제거 등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 ...
고령자도 북한산 등반 거뜬...웨어러블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북한산 영봉까지 등정하는 '웨어러블 로봇 챌린지'를 수행했다. 목표 지점까지 해발 604
미터
로 왕복 3시간이 걸리는 코스다. 그 결과 착용자는 흙길과 바위길, 경사로와 평지가 반복되는 다양한 보행 환경에서 중간 배터리 교체나 개발자의 개입 없이 로봇의 근력 보조로만 등반을 마쳤다고 밝혔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