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2만년 전 마지막 빙하기 절정 때 얼마나 추웠나?
연합뉴스
l
2020.08.27
자료를 수집해 연구에 활용했다. LGM은 가장 최근에 발생한 빙하기 때 대륙 빙하의
부피
가 최대로 발달했던 시기로 미주와 유럽 대륙 절반 이상과 아시아 상당지역이 거대한 얼음에 덮여있고, 추위에 적응한 동식물만 살아남았던 시기다. 연구팀은 "북미와 유럽의 북쪽 지역은 대부분 얼음으로 ... ...
기공 많아지면 더 튼튼해지고 스스로 치유되는 금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개발된 소재는 다공성 소재의 장점과 금의 장점을 모두 갖췄다. 기공이 전체
부피
의 70%를 차지해 가벼우며 일반 금에 비해 표면적은 10만배 이상 넓다. 전기전도도가 높고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생체에도 적합했다. 김주영 교수는 “나노 다공성 금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빛의 속도로 700년 가야 하는 거리에 있는 적색초거성이다. 적색초거성은 우주에서
부피
가 가장 큰 천체 중 하나로, 태양보다 질량이 10배 이상 큰 천체들이 수명을 다 해 연료인 수소를 소진하면 구름처럼 부풀어 올라 형성된다. 대부분 태양보다 반지름이 1000배 이상 커진다. 베텔게우스는 지구 ... ...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밀도는 리튬이온배터리의 1%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양의 전기를 저장할 때 100배 더 큰
부피
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벽돌은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아닌 전기를 고체에 정전기 형태로 저장하는 커패시터(축전지)다. 배터리보다 충전이 빠르고 수만 회 이상 충전이 가능하지만 에너지 ... ...
'한국형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회전할 때 표적을 놓치는 경우를 막아준다. 또 전파의 송신부와 수신부도 따로 구성돼
부피
가 크고 무거운 기계식 레이더와 비교해 가볍다는 장점도 있다. 가볍지만 정보처리속도도 기계식 레이더보다 훨신 빠르다. 여러 개의 공중과 지상 목표물까지 동시에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다. 위상배열 ...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지녀 ITER 건설에 참고가 되고 있는 한국의 핵융합 실험로 케이스타(KSTAR)보다 ITER는
부피
가 약 27배 크다. ITER는 신고리원전의 약 6분의 1~5분의 1 수준인 열출력 500MW의 실험로로 대규모 핵융합의 과학적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입한 에너지 대비 생산한 에너지가 10배 ... ...
여드름과 염증 치료하는 투명 온열패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온열요법은 시도됐다. 하지만 구동 모듈과 배터리 등이 패치 외에 추가적으로 필요하고
부피
가 커 부착 가능 부위가 한정적이란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탈릭 글래스’와 ‘나노 와이어’를 이용해 투명 온열패치를 만들었다. 메탈릭 글래스는 첨단 신소재로 일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분자는 그 숫자가 굉장히 많다. 또한 서로 빠르게 충돌하면서 주어진 공간 속에서 특정한
부피
를 차지하고 압력을 미친다. 보통은 이렇게 많은 개수의 입자를 다룰 때 평균값을 생각하기 마련이다. 즉, 수많은 기체분자들이 굉장히 빠른 제각각의 속도로 날아다니면서 서로 충돌할 텐데 이들 속도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화학의 정점 주기율표의 성립
2020.06.11
받지 못했다. 독일의 율리우스 로타르 마이어(1830~1895)는 비슷한 시기 원자량과 원자의
부피
사이에 규칙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마이어는 자신이 발견한 결과를 하나의 표, 즉 주기율표로 정리해 1870년에 출판한 책에 실었다. 그러나 그보다 1년 앞서 1869년 러시아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1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원자와 분자
2020.05.28
모래알이 훨씬 더 고운 입자여서 가로 세로 높이가 0.1밀리미터라고 하면 모래알 하나의
부피
가 천 배 줄어든 셈이니까 전체 모래알의 개수는 천 배 늘어난다. 이 경우 전체 모래알의 개수는 대략 10의 18승개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아보가드로수 ~10의 23승에 비해서 10의 5승, 즉 10배 정도 작은 양이다.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