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잘 빨아들이는 고분자 코팅해 전기분해 효율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6
㎛·100만분의 1m) 크기의 구멍이 뚫린 수화 젤을 전극표면에 코팅했다. 수화 젤은 자기
부피
의 수십 배 이상의 물을 머금을 수 있는 고분자물질이다. 수화 젤을 코팅하면 표면에 물이 더 잘 붙게 돼 물 속 공기방울이 물에 밀려나 전극표면에 잘 붙지 않게 된다. 류 교수는 "다공성 젤을 이용한 이유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스터 트롯의 뇌과학
2020.04.14
부분)과 우뇌의 청각피질(노랑~파랑 부분)을 비교해보면 좌뇌의 청각피질, 특히 백색질의
부피
가 좀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언어를 구사하게 되면서 말소리의 구성 요소인 음운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시간 분해능이 높아지며 처리해야 할 정보량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지과학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
과학동아
l
2020.04.11
플라스마 전자 마스크를 개발해 전 국민에게 지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부피
가 큰 플라스마 발생 장치를 소형화한다면 가능한 일이다. 플라스마 입자는 대체로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공기 중의 바이러스나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과 부딪치면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효과를 낸다. 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사회적 거리두기와 '코로나 블루'
2020.04.08
외롭다고 느끼는 정도가 클수록 감정과 지각의 중추인 뇌 좌측 편도체와 회색질의
부피
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지속적인 외로움은 기억과 정보 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 사회적 관계를 인지하는 뇌 부위 등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정리하자면, 지속되는 외로움은 뇌 구조를 ... ...
약 300만년 전 인류의 조상 '루시' 두뇌 유인원에 더 가까워
연합뉴스
l
2020.04.02
성인의 두뇌 크기가 침팬지보다 약 20% 큰 점을 고려할 때 A.아파렌시스 유아의 두개 내
부피
는 침팬지보다 상대적 더 긴 성장 과정을 거친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팀은 "디키카 유아의 두뇌를 루시처럼 작은 두뇌에 보수적으로 비교해도 현생 인류처럼 장기간에 걸쳐 두뇌 성장을 ... ...
[4·15총선 과학정책]친원전 정책에만 무게 싣고 AI·소부장 놓친 미래통합당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차세대 원전인 소듐냉각고속로(SFR) 연료로 재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론상 사용후핵연료
부피
를 20분의 1 수준으로 줄인다. 파이로프로세싱은 한미원자력협정에 따라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연구해왔다. 한국은 1997년부터 2018년까지 파이로프로세싱과 SFR 연구개발에 6794억 원을 투입했다. 하지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기체화학과 플로기스톤
2020.03.19
즉, 온도가 일정할 때 기체의
부피
는 압력에 반비례한다. 또는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
와 압력의 곱은 항상 일정하다. 보일의 법칙은 기체의 성질에 관한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정리이다. 보일이 활동하던 시대에는 진공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갈릴레오의 제자였던 이탈리아의 ... ...
3D 홀로그래피로 세포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왼쪽)과 거품세포의 모습이다. KBSI 제공 연구팀은 대식세포와 거품세포의 굴절률과
부피
, 세포 내 지질방울 개수 등을 분석했다. 여기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거품세포에만 결합하는 표적 나노약물을 개발했다. 이 약물은 거품세포에 작용해 콜레스테롤을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 ...
날 수 있을 만큼 가벼운 연료전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수분이 포함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해야 해 가습장치가 필요하다. 가습장치는
부피
와 무게가 커 연료전지를 경량화하는 데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연구팀은 전극에서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만들어진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흡수되는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기존 연료전지에선 수소가 ... ...
국내 연구팀 짜게 먹지 못하게 하는 방법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세포내액의 수분을 끌어당긴다. 체내에 소듐 이온이 과하게 존재하면 혈액과 간질액의
부피
가 증가해 혈압이 상승하거나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적정 수준으로 소금을 섭취해야 하는 이유다. 특히 신부전처럼 체액량 조절이 중요한 질환이 있는 환자는 과도한 소금 섭취가 치명적인데도 적절하게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