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3D 홀로그래피로 세포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6
왼쪽)과 거품세포의 모습이다. KBSI 제공 연구팀은 대식세포와 거품세포의 굴절률과
부피
, 세포 내 지질방울 개수 등을 분석했다. 여기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거품세포에만 결합하는 표적 나노약물을 개발했다. 이 약물은 거품세포에 작용해 콜레스테롤을 세포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 ...
날 수 있을 만큼 가벼운 연료전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수분이 포함된 수소와 산소를 공급해야 해 가습장치가 필요하다. 가습장치는
부피
와 무게가 커 연료전지를 경량화하는 데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연구팀은 전극에서 수소와 산소가 결합해 만들어진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흡수되는 연료전지를 개발했다. 기존 연료전지에선 수소가 ... ...
국내 연구팀 짜게 먹지 못하게 하는 방법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세포내액의 수분을 끌어당긴다. 체내에 소듐 이온이 과하게 존재하면 혈액과 간질액의
부피
가 증가해 혈압이 상승하거나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적정 수준으로 소금을 섭취해야 하는 이유다. 특히 신부전처럼 체액량 조절이 중요한 질환이 있는 환자는 과도한 소금 섭취가 치명적인데도 적절하게 ... ...
[프리미엄 리포트]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2.08
입자 표면의 영향은 커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육면체는
부피
와 겉넓이의 비가 10:6이지만,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육면체는 그 비율이 1:6으로 크기가 작을수록 겉면의 비중이 크게 뛴다. 즉, 퀀텀닷은 입자 표면이 퀀텀닷 전체의 특성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카드뉴스] 꼰대는 잘못된 게 아닙니다. 성격이 변한 것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20.01.26
뇌 백질에는 정보 교환의 속도를 담당하는 신경다발이 위치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그
부피
가 점점 감소합니다. 꼰대질의 배후에 있는 뇌의 노화현상은 잘못된 게 아니라 인간이라면 겪어야 하는 불가피한 현상일지 모릅니다. 지나친 간섭이나 무례함이 당연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꼰대질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것이다.”로 정의한다. 뉴턴 자신도 《프린키피아》 1권에서 “물체의 질량이란 밀도와
부피
를 곱한 것이다.”, “운동량이란 속도와 물체의 질량을 곱한 것이다”와 같은 정의를 사용한다. 그에 반해 F=ma는 힘의 효과를 정의로 대체하고 있다. 즉, 속도의 변화가 있으면 어떤 형태로든 힘이 작용한 ... ...
반짝이던 그 ★ 빛을 잃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별로 우리 은하에 속해 있다. 베텔게우스는 태양 질량의 10배지만
부피
는 800배에 달하는 적색거성에 해당한다. 태양 자리에 놓으면 목성까지 삼키는 크기다. 평소 붉은색을 띠는 이 별은 겉보기 밝기가 0.2등급에서 1.2등급까지 변화하는 '변광성'으로 겨울에 흔히 보이는 별 중 ... ...
전기차 배터리 저장용량·충전속도 두 마리 토끼 다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흑연보다 배터리 용량과 충전 속도를 높일 수 있지만 전기 전도도가 낮고 충방전시
부피
가 3배 이상 팽창해 물질 간 연결이 깨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분자와 분자간 공유결합이나 이온결합처럼 완전한 화학 결합이 형성되는 ‘가교’를 위해선 100도 이상 고온의 열처리가 필요했다. 공동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점이 흥미롭다. 뉴턴의 처음을 정의한 개념은 질량이다. “물체의 질량이란 밀도와
부피
를 곱한 것이다.” 이후 운동량(속도와 질량의 곱)과 관성물체 고유의 저항하는 힘) 등을 계속 정의한다. 정의 다음에는 ‘공리, 즉 운동법칙’이 나온다. 우리에게 익숙한 세 개의 운동법칙이 차례로 ... ...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공개할 계획이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무게가 가볍고
부피
가 작아도 고출력을 낼 수 있고 수명이 길다. 하지만 폭발이나 화재 위험성이 있고 고온이나 저온에서는 갑자기 방전되거나 성능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다. 고체 전해질 배터리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배터리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