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달 탐사 50년] 헬륨3 찾으러 달에 가는 '찬드라얀 2호'(3)
과학동아
l
2019.07.08
지구보다
부피
가 약 1000배 이상 더 큰 목성을 거쳐 태양계 끝자락의 토성과 천왕성, 해왕성을 모두 탐사했다. 이러한 인류의 우주 탐사는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을 정복하면서 본격화됐다. 인도는 첫 시도에 달 탐사에 성공해 주목받았다. 인도는 2008년 찬드라얀 (Chandrayaan) 1호를 달 궤도에 ... ...
5년 사용해도 성능 93% 유지되는 ‘나트륨 배터리’ 소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30
만들거나 저장물질이 환원되는 반응을 거치는 물질을 쓰는 방법도 있지만, 반응시
부피
가 너무 커지고, 이 과정에서 결정 구조가 변하면서 입자가 부서져 성능이 빠르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육 교수팀은 황화구리를 이용하면 충방전 뒤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저장 성능이 떨어지지 ... ...
거대한 MRI 장비 크기 절반 이하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10t에 달하는 자기공명영상(MRI) 기기의 무게를 반 이상 줄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MRI의 큰
부피
와 무거운 무게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을 겪던 병원들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김석환∙조영식 초전도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자기공명영상(MRI)의 크기와 무게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대체로
부피
가 커진다. 다만 물의
부피
가 최소가 될 때는 섭씨 0도가 아니고 4도이다.
부피
가 최소이므로 밀도(=질량/
부피
)는 최대이다. 1889년 제1차 도량형총회에서는 미터와 마찬가지로 금속덩어리를 하나 만들어서 1킬로그램으로 정의했다. (왼쪽) 한국에서는 1983년부터 진공 상태에서의 헬륨네온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에 탑재된 행성푸리에분광계(PFS)의 관측 자료를 근거로 2004년 12월 화성에 약 10ppbv(전체
부피
의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의 메탄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처음 발표됐다. 하지만 장비의 신뢰성이 문제가 돼 온전히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doi:10.2307/3839774 美 큐리오시티 ... ...
폭발 위험 없고 강력한 전고체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강하다. 사진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폭발과 화재 위험을 없애면서도 배터리 팩의
부피
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지 제조기술이 나왔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김호성 제주제역본부장팀이 전지 내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바꾼 새로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유척(鍮尺)을 들고 다녔다고 한다. 유척은 놋쇠로 만든 측정기구로 관리들이 길이나
부피
같은 도량형을 속이는지 알아보는 데에 사용했다. 1984년에 일어난 갑오개혁 때 신식 도량형제가 반포됐다. 군국기무처 역사자료. 국가기록원 도량형이 제각각이라 사회가 혼란스러웠던 것은 서구도 ... ...
낮은 압력에서도 수소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수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 중 저장의 경우 수소는 단위
부피
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일반적으로 수백 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압축해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켜 수소 충전소에 저장된다.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낮은 압력에서도 안정적으로 저장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 ...
황 도핑한 실리콘 음극 소재로 전기차 배터리 고속충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3
한계가 있다. 실리콘이 대체 소재로 떠오르고 있지만 전기 전도도가 낮고 충방전시
부피
변화가 커서 잘 깨진다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실리콘의 단점을 해결하는 이른바 ‘1% 도핑법’을 개발했다. 저온에서 대량의 실리콘 입자에 황을 도핑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이 방식으로 합성된 ... ...
갓 태어난 내 아기 머리 뾰족한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8
마치 밥공기를 비스듬히 겹쳐 쌓을 때처럼 서로 비스듬히 겹쳐지며 전체 두개골의
부피
를 줄였다. 머리뼈가 겹쳐지는 정도는 아기 개인마다, 또 머리뼈 부위마다 다 달랐다. 하지만 공통적으로, 머리 모양이 마치 고깔모자를 쓴 것처럼 위로 길고 뾰족하게 바뀌었다. 아기 가운데 5명은 출산이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