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맹
연합
합동
단결
협회
맹약
리그
뉴스
"
연맹
"(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마다가스카르 여우원숭이가 인간에게 준 숙제
2019.01.27
고유종의 상당수가 멸종위기입니다. 여우원숭이에 속하는 대부분의 종이 세계자연보전
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에 올라있습니다. 심지어 일부는 CR 등급인데, 심각한 멸종 위기 상태를 말합니다. CR 단계를 넘어서면 야생 멸종 등급입니다. 동물원이나 보호구역에만 있다는 것이죠. ... ...
2040년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커피 못마신다…야생커피종 60%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그 결과 약 124종 중 75종이 멸종위험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자연보전
연맹
(IUCN)이 만든 생물다양성 위험 척도에 따르면 75종 중 13종은 심각위험종, 40종은 멸종위험종, 22종은 취약종으로 분류됐다. 커피 콩은 온도에 극도로 민감하다. 커피 콩은 고원지대에서만 자라고 섭씨 30도를 ... ...
50년 전 달에서 온 크리스마스 선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보호해야 한다는 걸 인식하게 해 환경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국제천문
연맹
(IAU)은 지난 10월 8일 이를 기려 지구돋이 사진 속 충돌구의 이름을 ‘앤더스의 지구돋이’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아폴로 8호는 달을 탐사한 최초의 유인우주선이다. 12월 21일 오전 7시51분(현지시간) 미국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하지만 이 우주선은 아직까지 반쪽짜리 우주선이다. 국제항공
연맹
(FAI) 기준에 따르면 아직 우주로 들어서지 못했다. FAI는 고도 100㎞인 ‘카르만 라인’을 우주 경계로 보고 있다. 지구의 대기가 옅어지면서 항공기가 날지 못하는 높이를 처음으로 계산한 헝가리 수학자 ... ...
태양에서 가장 먼 핑크색 왜소행성 '파아웃'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거리(AU·1AU는 약 1억4960만km)의 120배 떨어진 곳에서 발견됐다 스콧 셰퍼드 국제천문
연맹
(IAU) 소행성센터 연구원 연구진은 17일(현지시간) 태양에서 120AU거리에서 ‘2018 VG18’이라는 천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해당 천체에 2018 VG18라는 명칭을 임시로 지정받았다. 태양과 가장 먼 곳에서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메이는 리퍼풀의 존무어스대 총장으로 일하기도 했습니다. 지난 2016년 9월에는 국제천문
연맹
(IAU)에 요청해 친구였던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을 떠난 1991년 발견됐던 소행성 17473의 이름을 바꾸기도 했습니다. 화성과 목성 중간에 지름이 3.5㎞에 불과한 소행성17473이 ‘소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가 된 ... ...
감마선으로 보이지 않던 별자리 새 지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2.08
그에 따른 오류나 실수도 발생했다. 결국, 천문학자들은 1922년 열린 제1회 국제천문
연맹
총회에서 별자리를 통일시키기로 했고, 1928년에 88개의 별자리를 공개했지요. 우리에게 친숙한 바로 그 별자리다. 공식적인 별자리가 정해지면서, 88개에 포함되지 않은 여러 별자리가 사라지게 되었다. ... ...
인슐린 품귀현상 발생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21일(현지 시간) 학술지 ‘랜싯 당뇨병과 내분비학’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국제당뇨병
연맹
의 당뇨병 환자 추이 자료 등을 바탕으로 2형 당뇨병 환자의 발생 가능성을 추정했다. 그 결과 환자 수가 현재 4억 600만 명에서 2030년에는 약 5억 1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절반 이상의 ... ...
우주팽창 설명한 '허블의 법칙'이름 바뀐다…새 이름 ‘허블-르메트레 법칙’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참석자를 대상으로 허블법칙 개명 안건에 대해 현장 투표를 실시하고 있다.- 국제천문
연맹
제공 1920년대만 해도 과학자들은 우주가 확장한다는 생각을 전혀 하지 못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바탕으로 우주가 정지해 있다는 관점과 반대되는 결과들이 일부 나오긴 했지만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블루길 황소개구리 포식 장면 이 모든 오해를 덮을 수 있는 근거로 IUCN(세계자연보전
연맹
)의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을 거론하지만 사실 IUCN은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서식지와 멸종위기종을 선정하고 보호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악성 침입 외래종 지정은 각 국에서 제출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