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전력
아웃풋
프린트
인쇄
뉴스
"
출력
"(으)로 총 969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기 병상 환자 욕창 예방하는 피부 압력·온도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9
센서는 피부 온도의 변화를 지속 측정하는 동시에 피부 온도 변화에 따른 압력 센서의
출력
을 보정하는 역할도 한다. 두 센서의 측정값은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통해 전송된다. 시스템에 필요한 전력은 침대 매트리스 아래에 설치한 송신기 코일 안테나와 무선 플랫폼에 장착된 원형 수신기 코일 ... ...
바람 타고, 초음파 타고…씨앗·박테리아서 영감 초소형 장치
연합뉴스
l
2021.09.23
덩치가 클 수밖에 없는 배터리 대신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진동수를 갖는 고
출력
음파(초음파)에서 돌파구를 찾았다. 연구팀은 코넬 나노과학기술시설(CNF)과의 협업을 통해 삼각형으로 된 우주선 모양의 초소형 유영로봇을 만들었다. 이 로봇은 뒷부분에 한 쌍의 구멍을 파놓았는데, ... ...
전세계가 눈독 들이는 ‘소형모듈원자로’ 메카 문무대왕과학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1
소형 원자로 시스템 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SMR(Small Modular Reactor)은 원자로
출력
300메가와트e(MWe) 이하의 원자로를 의미한다. 대형 상용 원전에 비해 규모를 약 100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증기발생기와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원자로의 주요 설비를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할 수 있다. 모듈 ... ...
[과학게시판] 지질자원연 ‘한국광업사’ 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소재분석연구부 연구원 연구팀이 불소가 도핑된 분말형 그래핀을 전극으로 도입해 고
출력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인 슈퍼커패시터의 성능을 향상하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소재 분석을 통해 공유결합과 이온결합의 중간 성질을 내는 준이온결합 존재도 밝혀냈으며 슈퍼커패시터 성능 확인 ... ...
[랩큐멘터리]기후변화 시대 믿고 맡길 차세대 전력시스템을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5
이런 대규모 풍력발전단지는 안정적으로 연계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풍력 발전량은
출력
변동이 크고 불확실성이 크다 보니 적절한 제어 기술이 없을 경우 전력 품질이 떨어지거나 대규모 정전 사태로 이어진다. 김영진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에너지시스템연구실은 대규모 ...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손톱보다 작은 발전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형태보다는 폭은 좁고 길이가 긴 가닥 형태가 좋다. 모듈 내부 온도차가 클수록 발전기의
출력
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3D 구조인 가닥 형태를 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단위로 작게 제작하는 기술이 없었다. 연구팀은 3D 잉크 쓰기 기술을 적용했다. 3D 잉크를 손 글씨를 써내듯 짜내면 ... ...
'해바라기 꽃가루' 이용해 3D프린터로 의료 소재 찍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9
3D 형태와 구조를 유지한 것을 확인됐다. 기존의 하이드로젤 기반의 3D 프린팅 잉크는
출력
후 형상 유지가 어려웠다.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섬유나 다른 입자를 추가할 경우, 3D프린터 노즐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꽃가루 잉크에 형광염료를 섞어 세포 배양틀을 인쇄하고 ... ...
한인 과학자들, 꽃가루 이용한 3D 프린터 잉크 재료 개발
연합뉴스
l
2021.08.27
최종 결과물을 얻기 쉽지 않았는데, 이번에 만들어낸 꽃가루 기반 바이오 잉크는
출력
후에도 모양 유지가 가능했다. 이러한 이점을 지닌 꽃가루 기반 바이오 잉크는 현재 생체의학 분야 3D 프린팅(바이오 프린팅)에서 쓰는 잉크 대신 활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 ...
3D프린터 쓸 땐 장갑·마스크 꼭 착용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필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할 때는 고열의 구동부나 날카로운
출력
물로부터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 3D 프린터 가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미세물질을 흡입하지 않도록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며 3D프린터를 환기가 가능한 곳에 설치하고 작업 중에는 해당 공간에 ... ...
레이저 핵융합 기술 “핵융합 발전 문턱 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이뤄진 연료(펠릿)를 속이 빈 금속 연료통(hohlraum)에 넣고 고
출력
레이저를 동시에 쏘면 펠릿에서는 마치 별의 중심부와 같은 고밀도 상태가 만들어지면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실험 초기 연구소는 이런 방식으로 NIF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 2012년에는 핵융합 발전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