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체
분석
분해
검토
검시
해부학
해산
뉴스
"
해부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눈에는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 그 해답은 구조센터
해부
학실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해부
학실 선반에는 조난돼 목숨을 잃은 각종 새들의 두개골이 일렬로 전시돼 있었다. 주먹보다 큰 독수리의 두개골부터 엄지손가락 한 마디 길이도 안 되는 작은 물새의 두개골까지. 크기는 달랐지만 공통점이 하나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15
능력이나 지능은 보통 사람과 같았답니다. 브로카는 이 환자가 세상을 떠난 뒤에 뇌를
해부
했는데, 왼쪽 뇌의 이마엽 아랫부분이 손상돼 있었어요. 그래서 뇌의 이 부분을 ‘브로카 영역’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어요. 1870년대 독일 신경정신과 의사 카를 베르니케는 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또 다른 ... ...
해부
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것도 특징이다. 또 대한의학회와 보건복지부의 ‘국가건강정보포털’ 누리집에서 각
해부
그림과 관련된 동영상 강의를 시청할 수 있도록 바로가기 QR코드가 실려 있어 스마트폰으로도 볼 수 있다. 책을 구입한 독자에게는 의과학사전 모바일 앱도 제공된다. 은행나무 제공 ■ 상상하기 ... ...
‘사이코패스’가 말하는 사이코패스
2015.03.22
보이는 생리학적인 특징을 설명하는 데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어려운 뇌 관련
해부
학 용어가 서슴없이 튀어나오기 때문에 사이코패스에 대한 가벼운 흥미로 이 책을 선택한다면 낭패를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사이코패스가 정말 사이코패스란 무엇인지에 대해 스스로 회고하는 글은 흔치 않은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부위별로 맞춘 다음 현존하는 동물 중에서 가장 비슷한 동물을 찾는다. 이어 닮은 동물을
해부
해 뼈와 근육이 붙어 있는 구조를 관찰한 뒤 뼈 화석을 관찰해 근육이 어떻게 붙어 있었을지 추측한다. 이후 뼈 화석에 혈관이 붙어 있었던 자국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혈관의 흔적이 남아 있다면 ... ...
SF로 포장해 철학으로 버무린 로봇 영상물
2015.03.15
어떻게 의식과 자아를 갖게 되는지는 아직 기초과학 단계에서도 규명되지 않았다.
해부
학적, 생화학적으로 인간이 사고를 하는 원리가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떻게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건지가 의문이다. 하물며 이런 정보를 전혀 엉뚱한 로봇에게 옮겨 넣으면 그대로 의식이 전달된다는 ... ...
탄자니아 국립공원 야생동물연구센터에 가다
2015.03.06
기생충이라도 숙주인 동물이 다르면 모두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엄 교수는 지난
해부
터 소의 간흡충과 야생 기린의 간흡충이 이름은 동일하지만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사이먼 음두마 타위리 소장은 “연구소재은행이 설립되면서 야생동물뿐만 아니라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anatomy.co.kr)을 통해 만화를 공유해 왔다. 최근 정 교수는 손수 그린 만화를 엮어 책 ‘
해부
하다 생긴 일’을 새로 펴냈다. 책에서는 정 교수의 학창시절은 물론 ‘진정한 의사의 길’을 고민한 흔적도 나타난다. 환자를 볼 때는 ‘얼마나 아플까’ 보다는 ‘어째서 아플까’를 생각해야 하는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수도 해리성 정체 장애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뇌의
해부
학적인 차이에 주목한다. 네덜란드 루돌프 마그누스 연구소, 미국 에모리대 등 국제 공동 연구진은 2006년 미국정신의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미국정신의학저널’에 해리성 정체 장애가 있는 사람의 해마와 ... ...
‘한국 미라’, 취재노트 속에서 새로 태어나다
2014.12.28
수 있다. 미라의 질병을 통해 의학사를 실제로 다시 쓴 적도 있다. 신동훈 서울대 의대
해부
학교실 교수팀은 2006년 경남에서 발견된 400년 전 여성 미라에서 ‘참굴큰입흡충’을 발견했다. 이 기생충은 같은 연구팀이 1988년 발견해 학회에 보고한 신종 기생충인데, 이를 무려 미라에서 발굴에서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