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연시간
Delay Time
딜레이 타임
latency
스페셜
"
대기시간
"(으)로 총 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실제 농도와 체감도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민승기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포스텍 제공. 날씨 만큼이나 자주 확인하게 되는 미세먼지 농도는 주로 단위 공간(㎥)당 미세먼지 용량(주로 마이크로그램)으로 표시된다. 일정 농도를 초과하게 되면 각 국가별로 ‘좋음’이나 ‘나쁨’ 등으로 나타낸다. 미세먼지가 나쁨 이상이면 외출시 마스크 ... ...
금성 대기에서 생명 활동 흔적 제시하는 물질 발견
2020.09.15
일본 탐사서 아카쓰키가 자외선을 이용해 촬영한 금성의 대기 모습이다. 두터운 대기 때문에 지표면은 고온 고압의 지옥 같은 환경이지만, 대기와 구름 사이에는 생명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일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미국과 영국 연구팀은 대기에서 생명체가 생산하지 않으면 발견하기 힘 ... ...
[화보+]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선정 올해의 천문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3
니콜라 르포도/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 제공 어두운 바닥에 빛나는 모래알들이 흩뿌려져 있다. 바로 눈 앞에서 보는 듯하다. 바닥 가운데에는 가장 밝게 빛나는 모래알이 있다. 이 사진은 영국 그리니치왕립천문대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올해의 천문사진’ 은하 부문 수상작이다. 프랑스 사 ... ...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2020년 한국은 이례적으로 긴 장마 기간을 경험했다. 이 같은 장마의 원인으로 기후변화가 흔히 꼽히지만, 실제로는 기후변화의 영향은 작도 대기의 내부 불안정성에 따른 강수량 변화가 훨씬 큰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아일보 DB 올해는 장마가 이례적으로 긴 해다. 1973년 이후 가장 길었 ... ...
미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돈 쏟아붓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극초음속 미사일 렌더링 이미지. 레이시온 제공 미 공군과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1일(현지시간) 극초음속 미사일 'HAWC' 2기에 대한 적재비행실험(Captive Carry Test)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 실험은 미사일을 로켓이나 글라이더에 견인줄을 달아 비행하는 실험이다. 새로운 미사 ... ...
코로나 중환자 병상 왜 확보 어렵나..."문제는 전담 인력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코로나19 중환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의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 연합뉴스 제공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일 0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위중∙중 환자가 전날보다 25명 늘어 104명으로 집계된다. 스스로 호흡은 가능하지만 폐렴 등의 증상으로 산소 포화도가 ... ...
고령환자 이어 '숨은 전파자' 어린이 환자 비율 늘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최근 환자가 급격히 늘면서 동시에 고령 환자 비율도 크게 늘었다. 한편 어린이 환자의 비율도 서서히 늘어 주의가 필요하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국내 누적 환자수가 1일 2만 명을 넘은 가운데, 방 ... ...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의 역설...곡물 가격 6배로 껑충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넓게 펼쳐진 농업 용지 뒤로 들어선 공장이 이산화탄소를 뿜고 있다. 스프링거 네이처 제공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2018년 발표한 보고서는 세계 기온 상승량을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이내로 유지하려면 2050년까지 전 세계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전망했다. 그 ... ...
충돌 확률 0.41% 지름 2m짜리 소행성 지구로 접근한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소행성 2018VP1이 11월 2일 지구로 다가오는 모습을 시뮬레이션으로 나타냈다. 위키피디아 제공 소행성 ‘2018VP1’이 11월 2일 지구에 근접한다.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0.41%다. 전문가들은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할 확률 자체를 놓고 봤을 때 낮은 확률은 아니지만 피해를 우려할 만큼의 크기의 소행성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우림 토양 탄소 배출량, 예상보다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5
네이처 제공. 지구온난화는 전세계적인 기후변화를 유발한다. 이상고온, 폭우, 해빙, 극한의 추위 등 체감할 수 있는 현상뿐만이 아니다. 토양에 포함된 유기물이 고온의 영향으로 불안정해져 대기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늘어나는 악순환도 생긴다. 이번주 네이처에는 보기만 해도 눈이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