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체온분포를 살펴보면 사람과 꼭 같다고 말할 수 없다. 대개 37-40℃ 사이에 분포한다(그림). 조류가 포유류보다 체온 높다그런데 조류는 특별히 40℃를 훌쩍 넘는다. 닭의 체온은 41.7℃다. 이처럼 조류의 체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알을 품어야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조류의 알은 부화가 ...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과학동아 l2002년 03호
- 검은 조각에 흰색을 부여한 것이다. 튀어나온 부분은 흰색을, 들어간 부분은 검은 그림자가 지면서 조각의 입체감은 멋지게 살아난다.총알 맞아 깨지는 전구 순간포착전구가 총알에 맞아 박살이 났다.그 찰나의 순간을 카메라가 ‘찰칵’ 담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아~아~알~칵’하며 찍은 ... ...
- 자연의 정교한 수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과학동아 l2002년 02호
- 3)이다. 따라서 정삼각형 6개, 정사각형4개, 정육각형 3개로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다(그림).이 중에서 벌은 왜 하필 육각형을 선택했을까. 이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바로 최소의 재료로 최대의 공간을 얻을 수 있는 것. 그러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 모양의 ...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수 있을까. 현재 몇가지 구동방식이 연구중이다. 그 중 하나가 정전기력에 의해서다(그림 1). 서로 맞닿아있지 않은 작은 스위치의 양단에 전압을 걸어준다. 그러면 양단의 스위치가 서로 다른 극을 띠게 된다. 이때 스위치 양단에 정전기력이 발생하고, 서로 끌어당기려고 한다. 즉 스위치의 양단이 ...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과학동아 l2002년 02호
- 달라진다는 사실을 이용하면 필름에서 잰 달 크기로부터 달의 시직경을 구할 수 있다.(그림1) 달의 크기(mm)/2 = 천체망원경의 초점거리(mm) × tan(달의 시직경/2)달의 시직경 = ${tan}^{-1}$(달의 크기/(2×천체망원경의 초점거리))×2달의 시직경을 구하면, 사진 찍은 날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도 마찬가지로 ... ...
- 초미세 기계가 일으키는 초대형혁명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없애면, 실리콘 기판 위에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바로 이것이 반도체칩 공정과정이다(그림1).이같은 공정과정이 MEMS의 3차원 구조물을 형성시킬 때 그대로 이용된다. 다만 공정과정에서 반도체칩과 다른 점은 중간에 빈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공정과정에서 사라지는 층(희생층)과 실제로 남게 되는 ...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과학동아 l2002년 02호
- 활동했던 시기와도 겹친다. 추사가 과연 이런 시대적 분위기를 도외시한 채 관념으로만 그림을 그렸을까. 당시의 실제 건축 분위기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해답을 찾을 수 있다.다양한 조류 속에서 가치 발하는 전통문화세한도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창덕궁 후원의 선향재(善香齋)는 ...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과학동아 l2002년 02호
- 화학실험을 도와줬고 직접 실험노트를 작성하기도 했다. 1788년에 다비드가 그린 유명한 그림은 실험실의 라부아지에와 마리를 모델로 삼고 있다. 그녀는 또 산소이론을 토대로 새로운 화학을 공식화하기 위해 라부아지에가 집필했던 ‘화학의 기초’(Traite elementaire de chimie)에 포함된 13페이지의 동판 ... ...
- 원자력에너지의 핵심 중성자 연구과학동아 l2002년 01호
- 공장, 커다란 콘크리트 돔, 물탱크….일반적으로‘원자력발전소’하면 떠올릴 수 있는 그림이다. 원자력에너지 이용의 한 분야인 원자력발전은 현재 우리나라 총 발전량의 43%를 차지하고 있을만큼 비중이 크다. 원자력에너지를 만들어내는 거대한 돔 안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과학동아 l2002년 01호
- 너무 먼 위치를 차면 많은 회전을 얻을 수 없다는 말이다.이제 카를로스나 고종수처럼 그림 같은 프리킥이나 슛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과학적으로 정리해보자. 먼저 공 표면의 공기 흐름이 난류가 될 만큼 강하게 공을 차야 한다. 그래야 발을 떠난 공은 저항력을 적게 받으면서 쭉쭉 뻗기 ... ...
이전306307308309310311312313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