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화학 - 거울대칭 두 물질에서 유용한 쪽만 합성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얼핏 보면 같은 것 같지만, 왼손의 장갑이 오른손에 맞지 않듯 분명 서로 다르다.가령 그림자로만 보면 오른손인지 왼손인지 구별할 수 없다는 점이 이 두 화학구조 사이의 관계와 같다. 이처럼 어떤 물질이 그의 거울상과 겹치지 않을 때 우리는 이 물질을 키랄(chiral)성이라고 말한다. 키랄이라는 ... ...
- 하지점은 겨울철 별자리에 있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자전축은 (그림1)에서 보는 것처럼 23.5° 기울어져 있다. (그림1)에서 지구가 A점에 있을 때 해는 북회귀선을 수직으로 비추므로 우리나라는 더운 하지가 된다. 낮과 밤의 경계선에 유의하면 이때 하루 종일 북극 지방은 낮, 남극 지방은 밤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즉 (그림1)만으로도 지구의 양극 ... ...
- 2 활용 : ② 탄소나노튜브와 원자현미경의 찰떡궁합과학동아 l2001년 10호
- 2장의 서로 떨어져있는 금속막을 입힌 후 그 끝에 두개의 탄소나노튜브를 붙인 것이다(그림). 이 디바이스의 금속전극에 전압을 가해주면, 양과 음의 전하가 각각의 나노튜브 끝에 유도된다. 우리는 플라스틱 자를 털헝겊으로 문지르면 플라스틱에 전하가 유도돼 작은 종이조각이 들어붙는 ...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그가 남긴 해부도가 도저히 해부를 해 본 사람의 것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부정확한 그림이기 때문이다.공식적으로 세계최초의 해부도를 남긴 사람은 베렌가리우스이다. 그는 1백구 이상의 시체를 해부해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수많은 조직을 새로 발견했으며, 1521년 발표한 저서에서 자신의 ...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과학동아 l2001년 10호
- 기교가 필요하다. 무턱대고 색부터 칠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최소한의 구상과 밑그림이 있어야 한다. 앞서 언급한 기술적인 문제, 즉 데이터 전송속도의 진화, 압축기술의 발전, 휴대폰 기능의 다양화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 외 배터리 대기시간 향상, 카메라와 스피커폰 기능의 향상 등도 ...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과학동아 l2001년 10호
- 페닐 분자(C6H5)를 STM 탐침으로 합성해 바이페닐 분자(C12H10)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그림1). 또한 코넬대 윌슨 호 박사(현재 UC Irvine 교수)는 STM 탐침을 이용해 아세틸렌 분자가 구리 표면 위에 달라붙은 방향을 바꾸기도 하고, 은 표면에서 일산화탄소를 철 분자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기도 했다 ... ...
- 지능검사 새로운 바람 분다과학동아 l2001년 10호
- K-ABC)를 개발했다. 시험 치듯 검사지에 답을 적어 나가던 예전과 달리 요즘엔 퍼즐, 퀴즈, 그림 등 다양한 도구들을 이용해 지능검사를 하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가장 세계적인 지능검사IQ 테스트 하나.‘ 산길에서 두 아이가 호랑이를 만났다. 호랑이와 아이들 사이의 거리는 10m. 호랑이는 시속 7 ... ...
- 심심하고 할 일 없어 털다 -주유소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01년 10호
- 휘두른다. 야구선수 지망생 노마크, 단순무식이 신조인 무대포, 좌절한 록가수 딴따라, 그림 그리는 사이코 페인트. 이들 넷은 어느날 편의점에서 라면을 먹다가 주유소를 습격한다. 동기는 간단하다. 심심하고 할 일도 없고 해서 그냥 턴 것이다.점점 잔인하고 경박해져그들은 왜 아무런 이유도 없이 ...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과학동아 l2001년 09호
- 태양계의 서쪽 방향과 정반대다. ( )|정답 해설| 천체가 자전하는 방향을 따라서 (그림1)과 같이 오른손 네 손가락을 구부릴 때 곧게 편 엄지의 방향이 북쪽이 된다(이는 물리학에서 말하는 각속도 벡터의 방향이다). 따라서 우리가 보면 해는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질 수밖에 없다. 지구나 ... ...
- 너무나 엽기적인 그 과학자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알아보기 위해 수십명의 남자들을 발가벗겼던 통계학자들과 비둘기에게 피카소의 그림을 보여주며 ‘쇠귀에 경읽기’를 반복했던 행동심리학자들.어쩌면 그들은 모두 지나친 호기심과 넘치는 학문적 열정, 그리고 엉뚱한 상상력을 주체하지 못하는 진정한 과학자였을 것이다. 그들의 연구는 아직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