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친절한 거미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학생들이 직접 생물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특히 주필거미박물관은 세계
최초
의 거미박물관으로 김주필 거미 박사가 전세계를 누비며 모은 자료를 모아 뒀다.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과 주필거미박물관에서는 거미표본 4000여 점과 한국 야생화 2000여 점, 수목 1000여 점 등 거미와 다양한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동안 훈련받아 평균 41%의 진단 성공률을 보였다.20개월 된 코커스패니얼 종인 파코(Paco)는
최초
로 당뇨병 환자를 위해 훈련된 개다. 파코는 주인의 입김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해 혈당치가 갑자기 내려가는 것을 알아채고 주인에게 알린다. 주인이 자고 있을 때 위급 상황에 빠지면 비상벨을 눌러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했기 때문에 일부러 몸통을 나눈 것.1995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개발한 세계
최초
의 로봇 물고기 ‘찰리’나 2001년 MIT 드레이퍼연구소가 개발한 로봇 물고기 ‘드레이퍼 참치’ 등이 모두 그런 경우다.반면 로피는 진짜 물고기처럼 몸통을 하나로 이었다. 이를 위해 고안한 방법은 의외로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군사용으로 개발된 미국의 GPS와 러시아의 GLONASS와는 달리 갈릴레오 시스템은 세계
최초
의 민간 전용 위성항법시스템이다. 두 시스템은 군사적 목적이나 전략적인 이해에 따라 언제든 중단될 수 있는 반면 민수용인 갈릴레오는 그렇지 않다.지난 2002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갈릴레오 프로젝트는 이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이는 미국이 발표한 달기지 건설보다 한 발 더 앞선 우주개발 계획으로 화성에 가는
최초
의 지구인이 일본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야마카와 히로시 우주과학연구본부 교수는 “아직 기초 계획 단계지만 다른 나라와 차별된 일본의 독자성을 살리고 싶다”고 하면서 우주개발에 박차를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통틀어 말한다1833년에 프랑스의 페앵과 프뤼소가 맥아(麥芽)에서 추출한 역사상
최초
의 효소제품이다 아닐린에 염화벤젠디아조늄을 작용시키면 생성되는 화합물 1,3-디페닐트리아젠이라고도 한다녹는점 99~100℃의 담황색 결정으로 산에 의해 전위하여 4-아미노아조벤젠이 생성된다녹는점 이상으로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스티븐 와인버그의 흥미로운 강연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가 저술한 ‘
최초
의 3분’이란 책을 바탕으로 우주와 물질의 기원을 재미있게 풀어낸 명강이었죠.”어린시절 장미와 별을 보며 키워왔던 생명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탐구가 이때부터 본격화됐다고 김 교수는 회고했다.우주와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위한 기본기 다지기라면 고등훈련과정은 본격적인 우주인 소양 쌓기 과정이다. 한국
최초
우주인에겐 한국 대표이기 전에 소유즈호 선원이라는 본연의 임무가 있다. 한국 우주인은 1주일간 ISS 우주실험실과 생활구역에서 생활하면서 우주선 보수와 유지 활동을 하고 비상 상황에서 동료우주인과 ... ...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DMB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시작됐다. 지난 5월 첫 전파를 쏜 위성 DMB에 이어 이번에 시작한 지상파DMB는 한국이 세계
최초
로 독자 개발한 신개념 방송서비스다. 지상파DMB는 유료인 위성 DMB와 달리 단말기만 있으면 누구나 무료로 비디오와 음악, 데이터 방송을 즐길 수 있다. 새롭게 각광받기 시작한 DMB 개념과 최근 뉴스를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되는 마크 와이저의 논문(1991), 조나스 솔크 박사의 소아마비백신(1955), 버나드박사의
최초
의 인공심장 자빅의 기사(1967) 등 19세기부터 현재까지 과학기술사의 수 많은 이정표들이 이 잡지의 과월호에 남아 있다.특히 이 잡지는 미국의 지성인과 과학자들이 즐겨 읽고 잡지에 실린 내용을 자신의 ... ...
이전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