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줄의 열의일당량 측정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아니다”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삭제됐다.줄은 열과 역학적 일이 동등하다는 것을 주장한
최초
의 인물은 아니었다. 1840~1843년에 덴마크의 루트비히 콜딩, 독일의 로베르트 마이어, 영국의 제임스 줄은 열과 일의 등가성에 대한 생각에 도달했다. 하지만 줄의 주의 깊은 설계와 실험 수행 능력, 오차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옆에서 반딧불 하나를 찾는 것만큼 힘든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진촬영을 통해
최초
로 외계행성이라고 학계에서 인정받은 ‘2M1207b’의 공동 발견자이기도 하다. 지난해 9월 유럽남반구천문대(ESO)의 가엘 쇼뱅 박사팀이 칠레 북부에 있는 거대망원경(VLT)으로 지구에서 230광년 떨어진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중국
최초
의 우주인 양리웨이가 우주를 다녀온지 불과 2년만에 중국은 두번째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두 명의 타이코노트(중국 우주인을 일컫는 신조어)는 5일 동안 우주에 머물면서 우주선에 마련된 실험실에서 각종 무중력 실험을 실시했다. 선저우6호는 지구를 77바퀴를 돈 뒤 10월17일 ... ...
2. 다재다능한 중매쟁이 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커플이 생기게 되는 것.쇼뱅 박사는 이렇게 분자 간 커플교환이 이뤄지는 상세한 과정을
최초
로 정확히 묘사했으며, 슈록과 그럽스 교수는 이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능력 있는 ‘중매쟁이’ 촉매를 개발했다. 블랙박스에서 꺼낸 보물사실 이 자리교환 반응은 이미 1950년대 이래 석유화학 산업의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눈길을 끌었다. 골든이글(검독수리)이 별칭인 T-50은 한국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최초
의 초음속 비행기로 지난 2003년 2월 첫 음속 돌파에 성공했다. 지금까지 기록된 최고 속도는 마하 1.5, 최고 1만4783m까지 상승할 수 있다.지난 8월부터 본격 양산 체제에 들어갔다. 길이 13.4m, 너비 9.45m, 높이 4.91m로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형광등을
최초
로 시장에 내놓았다. 1893년 니콜라 테슬라가 컬럼비아세계박람회에서
최초
의 형광등을 전시한지 45년만의 일이었다. 이들이 형광등을 상품으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은 GE가 오늘날 형광등의 발명가로 인정받고 있는 에드문드 저머의 특허권을 소유하면서 가능해졌다.마즈다는 기존의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확보할 수 있을텐데….”1783년 프랑스 몽골피에 형제가 하늘을 날고 싶은 욕망에
최초
의 열기구를 띄운 지 222년. 이제 과학자들은 헬륨가스를 가득 채운 풍선을 하늘 끝까지 올려 보내 우주의 비밀을 캐내고 있다. 그 가장 앞선 곳에 서 있는 서 교수의 활약을 세계 천체물리학계는 커다란 기대감으로 ... ...
에메랄드 빛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생명체를 이루는 물질을 만들어 냈답니다. 이 아미노산들이 다양하게 합쳐져
최초
의 원시적인 세포‘코아세르베이트’가 생겨났어요. 이 원시세포는 35억 년에서 40억 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진화해 현재와 같은 다양한 생물을 만들게 되었죠. 바다는 태양에서 오는 열기를 흡수해 우리가 살기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중요시하는 학문이랍니다. 교수님은 생물처럼 특정 자극에 반응하는 고체 물질을 세계
최초
로 개발하여 주목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으로 고체는 압력을 가하거나 자극을 주어도 아무 반응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지요. 그러나 교수님의 연구로 초분자 기술을 현실에 응용할 수 있는 문이 활짝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일반적으로 근시일 경우 안경 디옵터의 절대값이 클수록 시력이 더 나쁘다고 할 수 있다
최초
의 X선 관측위성으로 1970년 케냐에서 발사됐다 본 이름은 소형천문학위성 1호(SAS-1)다 그러나 케냐의 독립기념일에 발사됐기 때문에 스와힐리말로 '자유'를 뜻하는 우후루라는 이름을 얻었다도룡뇽과에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