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같은 한국방향의 산맥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폭포들이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잘
발달
돼 있다.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폭포들을 보면 74m의 높이를 가진 금강산의 구룡폭포, 설악산 계곡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오련 여신 천당 형제 쌍 양폭 등과 산록에 있는 토왕성 비룡 대승 소승폭포 등이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동제어, 자동화를 연구하는 제어공학은 전자공학이 발전한 2차대전 이후 급격하게
발달
한다.자본주의 체제가 확립되면서 생산성 향상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돼 부흥한 학문이 산업공학이다. 미국인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이 시조가 되는 산업공학은 '테일러협회'의 성립으로 2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응용하는데 더 관심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화학공학의
발달
사를 보아도 화학과의 차이는 명백하다. 19C말~20C초에 각국에 등장한 화학공학은 화학제품의 대량생산시대를 맞아 제품생산의 공정은 물론 화학공장 전체의 설계, 설치된 장비의 운전 등을 교육 내용으로 한다. ... ...
우주로 향한 차세대 항공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영역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존해야 한다. 슈퍼 컴퓨터와 전산유체 역학 해법의
발달
로 이러한 어려움이 점차 극복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완벽하다 할 수 없다.지상에서의 제한된 풍동실험이나 추진기관시험 및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는 실제 궤도 진입까지의 비행시험을 통해서만 검증될 수 ... ...
3 의식구조를 통해 본 강점 약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론분야가 개척됐고 이것이 레이더 기술과 결합, 공격 방어체제의 자동화에 극적인
발달
을 가져왔다. 하긴 일본측에서도 대공포화의 자동조종화가 상당수준까지 개발돼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개별적인 문제를 통합, 통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이론+기술'의 체계는 독일이나 미국에 비해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경향을 띤다. 그들은 인간과 기계를 융합한 문명, 생체공학이 극한으로까지
발달
함에 따라 변화되는 인간의 의미 등을 끈질기게 추적하고 있다.또한 데이비드 브린(David Brin) 스탠리 로빈슨(Stanley Robinson) 등 최근들어 알려지기 시작한 과학소설계의 스타들도 스페이스 오페라가 난무하고 있는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고양이과(科) 동물에서 볼 수 있는 중족골(中足骨)이 없고 대신 대퇴골(大腿骨)이 길게 잘
발달
됐기 때문이다. 치타도 다른 고양이류와 마찬가지로 발톱을 움츠려 넣을 수 있으나 발톱을 감출 수 있는 '집'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항상 발톱의 일부가 밖으로 노출돼 있다.갓낳은 새끼는 몸에 얼룩무늬가 ... ...
성적(性的)행동 지배하는 제6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감각기관의 점액에서는 시알산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고양이는 시각에 비해 후각이
발달
해 있고 냄새를 풍김으로써 애정을 표시한다. 수놈은 발정기의 암놈 몸으로부터 나오는 페로몬과 오줌 냄새를 맡고서 암놈에 접근한다.고구레는 "코는 음식 냄새를 맡는 반면에 새로운 감각기관은 성적(性的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20세기 후반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한다. 눈부신 물질문명의
발달
에도 불구하고 생명현상의 심오한 비밀은 대부분이 아직도 신비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전달하는데 적합치 않다고 말했다. 구어→펜→활자→전자매체로 이어지는 미디어
발달
사의 다음 주자는 무엇이 될 것인가.오후에 계속된 발표에서 민스키교수는 컴퓨터가 인간과 비슷하게 반응할수록 인간이 컴퓨터를 더 친숙히 여기고 더 많이 이용하리라 전제하고 이를위해 전문지식이 아닌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