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뚝 선 메히코의 피라미드 나우아 문명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곳에 거대한 조각기념탑들을 세웠다. 뿐만 아니라 그는 금 은 동 등 금속의 사용법을
발달
시켰고 건축술도 크게 장려했다. 큰 건물의 기둥 책상 왕좌 등의 다리를 조각물로 만들고 지주를 이용, 건물을 크게 짓고 내부를 넓게 확보하기 시작했다. 때로는 원형의 건물을 짓기도 했다. 아울러 멕시코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들의 작업은 자연스레 컴퓨터 발생음과도 연결되었으며 결국 컴퓨터 음악기술의
발달
을 촉진시켰다.1967~69년 존 케이지는 르야렌 힐러의 도움으로 얻은 난수열을 그의 우연성 음악에 사용하기도 했다. 힐러는 많은 작곡용 서브루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후에 이것들은 그의 '일리악 모음곡'(1957 ... ...
1. 전자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않는 전쟁'이라고 표현되는 전자전은 2차세계대전 이후 ME(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기술의
발달
로 현실화되기 시작했다. 전자전의 특징은 정교함에 있다. 가공할 파괴력을 더해가는 무기체계에 정확성을 부여한 것이다. 정확성은 목표물을 선별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도 있으나 전쟁이 지속되면 ... ...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낼 수도 있는 등 신서사이저 한대만으로도 웬만한 연주를 할 수 있게 됐다.미디의
발달
과 함께 사람의 연주를 대신하여 컴퓨터가 연주까지도 간단히 할 수 있게 되었다.신서사이저에는 일반적으로 건반이 달려있어 건반악기인 걸로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신서사이저는 연주하는 방법에 따라 ... ...
찌르레기 둥우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따르면 새들이 잎을 찾아낼 때는 거의 후각에 의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감각은 항상
발달
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린새들의 부화시기에 맞춰 잠깐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때 찌르레기의 코는 '마치 쥐의 코처럼' 예민해지는 것이다 ... ...
차세대 전화기술혁명 무선시대를 연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는 모든 전자제품이나 전기용품들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것들의
발달
로 인한 편리함외에 그 반대급부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기를 항상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걸려오는 전화를 받아야 하는데서 생기는 ... ...
갈릴레이를 부끄럽게 한 기체 온도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렇게 오랜 세월이 걸린 이유는 확실하지는 않지만 유리기구를 만드는 기술이
발달
하지 못해서인 것 같다. 그러나 옛날에도 '뜨거운 정도' 나 '차가운 정도'를 눈대중으로 알아내는 경우가 많았다. 강이나 호수의 물이 얼 정도로 춥다든지 날씨가 따뜻해지면 강물도 풀린다든지 하는 것을 알고 ... ...
풀어쓰는 컴퓨터역사① 셈의 기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오랫동안 전인류의 사랑을 받아왔다.다음호에는 보다 체계적인 기계식 계산장치의
발달
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그 장치의 개념들이 어떻게 현대의 컴퓨터 설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자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실이다. 물론 다른 식물에 비해 그 능력이 상대적으로 좀더
발달
한 식물도 있고 덜
발달
한 식물도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처리 능력에 따라 식물을 세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제1 그룹은 스트레스에 잘 견디지만 피하지는 못하는 그룹이고, 제2 그룹은 잘 견디고 잘 피하는 그룹.제3 그룹은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거의 동시에 발표돼 선풍을 일으켰다. 그후 이 homeobox gene sequence를 이용해 수많은 새로운
발달
조절유전자들이 발견됐으며, 놀라운 속도로 연구가 진행돼 나가고 있다. 필자는 이 발견후 예일대학의 교수로 와있는 맥긴스의 연구실에 소속돼 이 분야에 관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이외에도 호르몬, ... ...
이전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