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3) 보석감정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바로 캐럽에서 유래한 것이다.다이아몬드의 중량을 재는 단위 캐럿(ct)의 유래 역시 이
식물
의 열매다. 마른 캐럽 한 알의 무게는 대략 2백mg으로, 오늘날 다이아몬드 1캐랫의 중량과 같다. 나라와 지방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던 다이아몬드 도량형은 1907년 제4회 국제 도량형 총회에서 2백mg으로 ... ...
산성비가 몰려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실험을 하고 있으며 (사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공적으로 산성비를 만들어 여러가지
식물
등에 뿌려 주면서 그 피해 실험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뚜렷한 피해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사진3)은 국립환경연구원의 산성비 측정장치와 산성비에 의한 금속부식실험장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것은 태양에너지다.화력발전에 쓰는 석유나 석탄은 과거에 광합성 작용에 의해 자라난 동
식물
의 유해가 오랜 세월 탄화되어 만들어진 것이므로 결국 화력발전에서 나오는 전기도 태양에서 온 것이다. 그 밖에 바람이 부는 이유는 태양이 대기와 지표를 불균등하게 가열하기 때문이며, 바닷물의 ... ...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신소재 콘크리트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원인이 되는 이산화화탄소를
식물
과 같이 적극적으로 호흡하는 다공(多孔) 콘크리트가 일본에서 개발됐다. 요지대(德島大) 공학부 건설공학과의 가와노(河野) 교수 팀은 신소재를 사용, 탄산가스를 흡수하는 환경보호용 콘크리트를 내놓았다.일반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 등을 섞어서 ... ...
친할 만한 곰팡이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있다. 곰팡이균은 엽록소가 없는
식물
로 보이지만, 사실은 11억년 전 지구에서 동물계가
식물
계에서 갈라져 나올 때와 같은 식으로 분리되어 나왔는지도 모른다.우드홀 해양생물 연구소 분자진화연구소의 미첼 소긴 박사에 의하면, 유전자 분석 결과 동물과 곰팡이 균은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잘못 복용해 엉뚱한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자연과
식물
을 마음 속으로 사랑하고 잘 보호해서, 아름다운 우리의 자연을 후손에게 깨끗이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 ...
개불알꽃으로 더 잘 알려진 복주머니꽃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강원도 양구지역의 한 약재상에서 수백 촉의 복주머니꽃이 검정 비닐 안에 마늘단처럼 무더기로 담겨 있음을 본 적이 있다.큰 복주머니꽃(Cypripedium ...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다. 지구상에 있는 생물의 유전자 자원을 보호하는 측면에서 이들
식물
의 자연생육지 보존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동물시계다. 분꽃은 곁두리(샛밥) 때면 꼭 활짝 피어 시간을 알려주는 농촌아낙네들의 꽃(
식물
)시계다. 그렇다면 생물인 우리의 몸 속에도 시간을 알려주는 생체시계가 있는 것일까. 우리는 밤에 일하면 아주 피로하고 외국여행을 하면 시차를 느낀다. 이것은 분명 우리 몸 속에 시계가 있다는 증거다 ... ...
생물종 보존에 냉동저장법 제안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위기에 처한 지역에서는 반드시 표본을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 벤포드의 주장이다. 작은
식물
이나 곤충은 생물체 그대로, 기타 동물이나 나무는 그 배(胚)나 조직표본을 냉동시켜야 한다는 등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하고 나섰다.벤포드의 계획은 일종의 '긴급 구제 조치'. 표본에는 채집장소만을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Tessloft) 출판사에서 발행한 책 '자연에서 응용한 여러가지 고안물들 : 생물공학-동물과
식물
로부터 그 공학을 배우고 있다'에서 우리 문명인들이 '단순한 자연'에게 크게 감사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예를 들면 새나 비행씨앗을 모방해 비행기를 만들듯이 우리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