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낙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개미, 소나무의 좀, 지네, 미끈이하늘소 등의 육식과
식물
의씨앗, 과일, 새순 등의
식물
성도 먹이로 한다. 이처럼 크낙새는 삼림에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익조다.이러한 종이 인간의 무지와 탐욕에 의해 사라져 간다는 것은 멀지 않아 인류에게 재앙으로 되돌아옴을 인식해야 한다. 수많은 진화의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죽어가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이다.한국
식물
연구회는 이름이 잘못 불리고 있는 우리
식물
의 이름을 제대로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도시에서 낳고 자라 줄곧 도시생활만을 영위하는 '도시인' 가운데는 억새와 갈대, 난초와 붓꽃 등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고 지적한다.이처럼 ... ...
메소포타미아 농업 기원설에 반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종래의 학설일 것이다.풀라가는 앞으로 고고학적 기술이 발달하면 흙무덤이나
식물
의 씨앗과 같이 단서를 거의 남겨놓지 않은 대상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아무튼 태평양의 솔로몬군도 거주자들이 세계최초의 농부였다는 최근의 주장은 신빙성이 꽤 높아 보인다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그림엽서와 연하장을 만들기도 한다.이 모임은 앞으로 생태계 잡지를 만들어 조류 곤충
식물
자연환경에 대한 관찰사항을 게재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탐조결과는 매월 발간되는 '녹색의 대안'이란 녹색당의 기관지에 발표해 왔다."이젠 탐조활동을 외국에도 나가서 할 계획입니다. 철새들에게는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북한에서는 감기약으로 또 가래를 제거하기 위해 쓴다고 한다. 그러나 남한 내에서 이
식물
을 약용으로 썼다는 기록이 없다.꿩의 바람꽃의 근경 끝에는 비늘같은 잎이 나 있는데 한개의 잎이 비스듬히 나와서 꽃이 진 다음 20cm 내외로 자란다. 여느 바람꽃들과 마찬가지로 이 꽃의 잎도 엽병(잎을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70년대까지 서울 근교인 경기도 광릉이나 죽엽산 축령산 명지산 등에서는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등을 쉽게 볼 수 있었다.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 안타깝기 짝이 없다. 1군(郡) 1휴양림 조성계획에 따라 자연휴양림지역으로 바뀐 숲속의
식물
생태계가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사라진다고 하면 그 결과는 해충인구의 폭발적 증가로 나타날 것이다.또 박쥐는 야생
식물
의 수분(授粉)에도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이처럼 박쥐가 우리 생태계에서 유익한 일을 많이 한다는 사실을 바로 알려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박쥐에 대해 지녔던 선입견을 누그러뜨린다. 하지만 아직도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적용될 경우 생길 수 있는 결과에 대해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낮시간의 연장이
식물
군과 동물군의 행동과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국소적으로는 기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옛소련의 과학자들이 1984년에 최초로 실험반사위성의 제작을 제안한 후 소련과학아카데미는 그것이 가져올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것이 사실이다"고 어려움을 털어놓았다. 빈약함이란 바로 이제까지 우리의 자연이나 동
식물
에 대해 축적된 정보가 부족함을 의미한다.대전 엑스포주제관들은 첨단과학기술의 여러 단면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고 있다. 항공우주 에너지 자동차 정보통신 등 과학기술이 창출해낸 결과물들을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연구원들의 어려움을 짐작하게 됐습니다. 또 막연하게 플랑크톤이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식물
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을 직접 목격한 것이 큰 수확이었습니다. 제가 근무하는 춘천에는 담수호가 많은데 앞으로 이에 대한 조사에 욕심을 내볼까 합니다.이석형:해양연구를 하려면 멀미하는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