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더 생생~!가상현실을 좀 더 생생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영상에 몸의 움직임을 더하는 경우가 많아요. 가상현실 영상에 맞춰 몸을 흔들거나 위 아래로 움직여 주는 4D 기기를 타고 가상 롤러코스터를 즐기는 것처럼요.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생기고 있는 가상현실 놀이공원은 이보다 한 발짝 더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극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어야 전기회로가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지요. 특히 LED 전구의 경우, 두 다리의 길이를 다르게 만드는 것으로 양극을 구분해 놓았어요. 긴 다리는 (+)극에, 짧은 다리는 (-)극에 연결해야 LED가 빛을 낼 수 있답니다.소금물을 넣은 밀가루 반죽과 마찬가지로 컬러점토 역시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스피커를 무한히 많이 설치할 수는 없다. 따라서 녹음되지 않는 공간이 꼭 생긴다. 이 경우 추출한 음원의 경향에 따라 함수를 구한다. 다시 말해, 유한한 개수의 음원으로 연속 함수를 만들어 녹음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알아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함수를 배워 내용을 심화한다. 반면, 북한은 한번 배운 내용을 다시 가르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 우리나라는 이론을 자세히 다루는 데 반해, 북한은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학 지식을 중심으로 가르친다.예를 들어 우리나라는 ‘명제’라는 단원을 배우면 진리집합, 명제·역·이·대우, ... ...
- [과학뉴스] 차갑고 우아하게 태어난 67P 추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떨어져 나와 성이 될 수도 있고, 작은 먼지가 조금씩 쌓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추리의 경우는 후자였다.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탐사선 로제타가 보내온 추리의 토양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밀도가 낮고 멍과 층이 많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단단한 암석에서 떨어져 나온 게 아니라는 강력한 증거다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2004년 노벨상을 받았다. 후각수용체 유전자 하나가 화학물질 하나를 담당한다. 인간의 경우,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후각수용체 유전자의 수는 약 400개다.물성딱딱한 초콜릿이 입안에서 사르르 녹을 때단단한 듯하지만 입안에서 쉽게 부서지며 부드러워지거나, 딱딱한 것이 입안에서 사르르 녹을 때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낙석이 발생하면 곧바로!만약 독도 사면에 낙석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 그럴 경우 육지에서도 즉시 지반의 변화를 알아차릴 수 있다. 동도 주요 구조물의 지반 움직임을 대전에 있는 지질연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원경 지구환경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의 안내에 따라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난다. 특히 비스비 공작석은 더 이상 산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쩌다 수집 시장에 나타나는 경우 박물관과 수집가들이 대거 몰려든다. 이른바 ‘명품’인 셈이다. 이처럼 광물도 산지라는 브랜드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게 난다. 명품 가방과 일반 고급 제품이 실상 재료의 차이는 별로 없지만, 장인의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같은 뼈가 여러 개 있는 경우라면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여러 명의 시체가 섞인 경우 각 개체를 구분하지 않고 다음 단계의 분석을 진행한다면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법의인류학자가 우리 몸에 있는 206개의 뼈에 대해 속속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다. 머리뼈와 치아로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배가 지나갈 때마다 갑문을 열어 수위를 높이기도 하고, 낮추기도 한다.파나마 운하의 경우 대서양에서 가툰호, 미라플로레스호를 지나 태평양으로 이어지는데, 대서양과 태평양의 수면이 호수보다 낮다. 때문에 여러 개의 갑문이 필요하다. 대서양에 선박이 도착하면 3단식 가툰 갑문(오른쪽 사진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