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으)로 총 3,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약, 유전체, 뇌과학 투자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13.01.13
- 등 생명학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위기를 느낄 수 밖에 없다”며 “우리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국민에게 알리도록 적절히 분석하고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수익 충북대 교수도 “중앙정부 중심 R&D를 지방정부로 나눠줌으로써 지역주민에게 ...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12.12.31
- 이 팀장은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도 불구하고 자생식물은 4000여 종에 달하고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은 분류방법에 따라 400~800여 종에 이른다”며 “생명공학과 한의학이 함께 연구한다면 한국 고유의 새로운 천연물신약을 다수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2.09.24
-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대 약대 우수인재 제약산업에 뛰어들어야 “제약산업은 우리가 틀림없이 세계 10위권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분야입니다. 단, 의대와 약대로 몰려간 우수인력의 일부가 신약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이동호 단장은 범부처사업을 위한 거버넌스가 갖춰지고, ...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2.09.10
- 위한 병원이 따로 있더군요. 놀이터 공간도 있어 원숭이에겐 호텔과 같아 보였어요. 우리 원숭이에게 새삼 미안한 마음마저 들었습니다.” 최근 국내에 ‘영장류센터’와 같이 원숭이를 연구할 수 있는 시설이 많이 생겼지만 대부분 원숭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이다. ...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동아사이언스 l2012.08.13
- 길이기 때문에 늘 새로 도전하고 결정해야 한다는 것. 그는 젊은 연구자들에게 “오늘 우리가 아는 건 언제든지 바뀔 수 있고, 오늘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건 내일 무너질 수도 있다”며 “이 때문에 힘이 들 때도 많겠지만 그런 경험이 쌓이고 쌓여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9
-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자금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지 냉정하게 평가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생명공학 연구 수준은 세계적으로 절대 뒤지지 않습니다. 이제는 이 연구들을 산업적으로 응용해 성과를 내야 할 시기지요. 바이오 벤처 기업들이 제대로 가치를 평가받고 충분한 투자를 받는다면 더 ...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동아사이언스 l2012.07.03
- 것 같다”며 “미국은 국제공동연구를 한다고 하면 전담 변호사와 상담하길 원하는데 우리나라는 공무원이 나오고, 격식에 맞지 않는 영어로 쓴 문서도 있다”며 해외 협력연구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일깨웠다. “●1년에 한 번 네트워크하러 미국 오면 너무 늦다” 좌담회 참석자 단체 사진. ...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동아사이언스 l2012.07.02
- 투자가 외적 확대, 인력 양성, 특허?논문 숫자에서 양적인 성장을 보여준 것이다. 이제 우리 바이오는 ‘양에서 질로 가는 단계’를 거치고 있다. 이런 내공이 쌓여 기업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새롭게 생겨야 할 전임상과 임상 분야에서 전문가를 키우고, 변호사·변리사도 있어야 한다. 정보 ...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동아사이언스 l2012.07.01
- 바이오 기술이나 산업 동향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의학연은 한국관에 입주해 우리 전통의 의술과 의학 등을 알렸다. 이번에 처음 참가한 한의학연은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융·복합 연구를 준비 중이다. 구남평 한의학연 홍보팀장은 “체질이나 침, 뜸 등 한의학 분야에 대해서도 외국 ...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21
- 열심히 연구한다고 해도 산업계에서, 또 소비자의 시각에서 보는 건 다를 수 있죠. 우리 연구가 누구에게 어떤 효과를 줄지 생각하면서 연구해야죠. 소통이라는 게 별 것 아니거든요. 내 고집을 죽이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받아들이면 더 가치 있는 연구를 할 수 있을 겁니다.” 라승용 원장의 ... ...
이전3083093103113123133143153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