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그 원인 중 하나가 일본 기업은 스스로 다 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
나라도 그런 면이 있다. 다른 나라와 적극적으로 손을 잡고 진출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NIH)은 국회에서 예산 증액 필요성을 연설해 파격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하는데
우리
는 전체 R&D 예산 중 10%만이 각 부처 BT 연구에 분배된다”며 “성과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BT 특성에 맞게 정부에서 장기적인 계획으로 지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구중심의 대학이 없는 것도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0억원~1조원의 비용이 필요하다. 이 중 연구개발에 관련된 비용은 10%에 불과하다”면서 “
우리
나라 제약회사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기업들이 투자를 할 수 있는 제도와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영식 교수의 ‘이것만은 꼭!’ △과학자들이 성과 위주의 기초개발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찾은 단백질 수는 650개였지만 지난해 말까지 찾은 단백질은 모두 1만118개로 크게 늘었다.
우리
몸에 있는 단백질(2만3000여 개) 가운데 절반을 밝힌 셈이다. 아직 뚜렷한 지도가 나온 건 아니지만 스웨덴 정부는 적극 투자하고 있다. 단백질 분야가 향후 의약·제약 시장에서 ‘블루오션’일 거라고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과학참사관 - 2004년~2007년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협력국장, 정책홍보관리실장, 열린
우리
당 과학기술수석전문위원 - 2007년~2010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 2010년~현재 연구개발인력교육원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학습’ 단계가 필요하다. 그 뒤 시장 정보나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단계를 거쳐
우리
몫을 조금씩 높이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브라이언김(셀트리온)=글로벌 기업에서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다. 글로벌 제약 기업은 제품을 과감하게 버리는 특징이 있다. 세계 최대 제약사인 화이자의 경우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
동아사이언스
l
2011.01.25
받았고요. 10년 전만해도 일본은 교수 수준,
우리
는 학생 수준의 발표를 했습니다. 이제는
우리
도 웬만한 것 다 연구하고 발표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습니다.” 권 교수는 연구자들이 지도교수의 연구를 따라하기 보다는 자신이 도전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필요가 있다. ▽유병린=생명자원소재산업화라고 해서 교과부가 기초 연구를 한 것을
우리
가 갖고 와 이어달리기 연구를 하고 있다. 예산타당성 검사도 신청했다. 교과부가 한 연구를 농림부가 산업화한다는 측면에서 국가 R&D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사례라고 본다. 또한 연구방향을 정할 때 현장의 ... ...
“제약경쟁력 키우려면 범부처 협력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0.11.23
독성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후보물질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우리
몸 안에 있는 세포·단백질을 재료로 쓰는 바이오의약품은 독성이 없을뿐더러 아직 확인되지 않은 물질도 많아 ‘블루오션’에 가깝다. 임 단장은 “한국의 바이오의약품 개발 능력이 선진국의 60~70%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선정돼 매년 최소 2억 원의 연구비를 받고 있다. 오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최빈국에서
우리
나라가 지금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던 건 과학기술에 투자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며 다시 한 번 국가 주도 R&D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기초가 튼튼해야 빛보는 BT 그럼에도 인터뷰 내내 아쉬움을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