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73건 검색되었습니다.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기술 중 유망한 분야는 글로벌 대기업이 이미 확보를 했습니다. 후발 주자에 가까운
우리
가 기업인수합병(M&A) 등으로 좋은 기술을 확보하기는 이미 늦었습니다. 게다가 농업 분야에서는 학문보다 자기중심적인 이념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를 버리고 지식 순환과 인적교류를 활성화해야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지식은 대학 들어가서도 배울 수 있지만 협동 능력은 어릴 때 키워야 한다”며 “
우리
는 초등학교 때 지식만 가르치고 일등만 강조하니 커서 협력할 줄을 모른다”며 안타까워했다. “융·복합에 뛰어든 바이오 학자들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해요. 그래야 가치사슬에서 높은 가치를 차지합니다.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0.01.14
우리
나라의 모델을 따라 연구와 지도를 통합한 법안을 상정했다. 김 청장은 “농업에는
우리
미래의 생존이 달려있다”면서 “중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농업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김 청장은 민간의 과감한 참여도 주문했다. 그는 “정부는 공적인 기능에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다”면서 “이공계위기 등을 탓하지 말고, 선배들이 먼저 ‘
우리
도 돈 벌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봉현 센터장의 ‘이것만은 꼭!’ ○융복합 연구를 적극 지원해 생명공학 산업화의 길을 트자 ○기술사업화를 위해 IT, NT 등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기술개발의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농식품기술은 여러 면에서
우리
미래를 먹여 살릴 연구분야지만 그동안 너무 분산돼 있었습니다. 이제 농기평이 멀리 내다보고 제대로 된 정책을 마련하겠습니다. 농어민의 소득을 높이고 국가 전체의 삶의 질을 높이는 연구기획은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모양을 만들거나 두께를 조절하기 쉽다. 중금속을 쓰지 않아 환경에도 좋다. 김 교수는 “
우리
실험실은 고분자 물질이 전기가 흐르는 정도에 따라 색이나 형광이 달라지는 연구를 많이 한다”며 “이게 발전하면 다양한 칼라의 전자종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재미있는 응용 분야로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중점적으로 해야 할 것은 기업에서 하지 않지만 국가에서 필요한 기초연구다. 그런데
우리
나라는 대학에서도 응용개발연구를 하는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대학이 기초연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대학원생을 비롯한 연구자들에게 연구 환경을 제공해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전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받을 수 있는 박사생은 1명으로 제한돼 있어요. 그나마도 2년에 한 번마다 뽑을 수 있죠.
우리
연구실에 오고 싶다는 나머지 1명에겐 다른 연구실을 알아봐주고 있습니다. 문제가 있지 않나요?” 기초연구도 성과주의로 판단하면 안 돼 너무 성과주의에 빠져 있다는 날선 지적도 나왔다. 응용연구도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개혁이 일어나도 과학기술정책만큼은 항상 안정적으로 기획되고, 또 추진됩니다.
우리
나라에도 그런 위원회가 꼭 필요합니다. 생명공학분야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기다림의 학문이니까요.” 생명공학은 선택과 집중 필요한 학문… 첨복단지는 유감 이 의원은 많은 연구개발 분야 중 어떤 분야를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축산시험장 교환연구원 1997~2004년: KAIST 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1997~1998년: 미국 미쏘
우리
-콜롬비아대 박사후연구원 1999~2003년: 충남대 농과대학 동물자원과학부 겸임교수 및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물발생공학연구실 실장 2003년: 로얀국제학술상 최우수상 수상 2006년: 생명연 전략연구본부 ... ...
이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