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플랑크톤처럼 움직이는 소형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UC샌디에이고 스크립스해양연구소 연구팀이 이런 플랑크톤의 움직임을 본뜬 수중 로봇을 개발했어요. ‘M-AUE(미니 자동 수중 탐험장치)’라고 불리는 이 로봇은 플랑크톤처럼 떠다닐 수 있고, 부력을 조절해 위아래로 헤엄칠 수 있어요. 또, 16개의 로봇이 하나의 무리처럼 움직이지요.로봇은 ... ...
- [과학뉴스] 우주선 폭발 막는 광섬유 신경망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안전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광섬유 감지 신경망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컴포지트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온라인판 2월 2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복합재료 안에 광섬유를 매설했다. 만약 충격으로 재료 내부가 손상되면 광섬유를 통과하는 빛이 바뀐다. 센서로 이를 검출하면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스트라노 교수팀은 폭탄이나 지뢰에 주로 쓰이는 질화방향족을 감지하는 시금치를 개발해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입자를 주입했다. 이 입자는 적외선 파장을 내뿜는데, 질화방향족과 결합하면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월 10일, 경기 성남시에 있는 한국식품연구원(이하 식품연)을 찾았다. “바로 이게 저희가 개발한 산업용 누룩입니다. 전통누룩에서 발굴한 미생물을 첨가해 만들었죠. 여러 양조장에 공급하고 있어요.” 이장은 식품연 우리술연구팀 선임연구원은 비닐로 포장된, 꼭 시멘트처럼 보이는 물질을 ...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들면서 가축 사료로도 쓰이는 콩과 식물 알팔파, 방풍림으로 쓸 포플러 등을 함께 개발하고 있습니다. 요즘 사드 배치 때문에 한중 관계가 험악하잖아요. 연구만큼은 2000년부터 10년 넘게 꾸준히 이어져 왔습니다.우수한 농대와 결합해 시너지 창출1949년 설립된 중국과학원은 소속된 연구소가 12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시카고대에서 물리화학을 전공했다. 1957년에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의 핵폭탄 개발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해 인체에서 우라늄을 검출하는 방법을 연구했다. 국가의 명운이 걸린 중대사였지만 젊은 프라이스에겐 성이 차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획기적인 돌파구를 낼 수 있는 더 중요한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아니다”고 설명했다.임 교수는 “이제 첫걸음을 뗀 것”이라며 “대용량 배터리를 개발하거나 바이오폐기물을 연료로 재활용하는 것처럼 신개념 에너지 공급방법을 찾아 효율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잃어버린 달탐사 위성 찾은 ‘매의 눈’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지구와 달 주위를 도는 위성 파편 등의 위험물체를 지상에서 추적하고 감시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다. 특히 달 주위를 도는 물체는 달에서 반사되는 밝은 빛 때문에 찾기가 쉽지 않다. 또 달은 지역별로 중력이 일정하지 않아서 주위를 도는 물체의 궤도가 달라질 수 있다.연구팀은 찬드라얀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발사체와 우주선의 항해를 담당하는 엔진 모두 이런 화학 추력기를 이용했다.하지만 우주개발이 계속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화성이나 목성, 토성 등 외행성을 탐사하려면, 지구 중력의 100만 배에 달하는 힘으로 우주선을 잡아채는 태양 중력을 넘어서야 한다.외행성 탐사의 최대 걸림돌 태양 ... ...
- [Career] 안전한 배터리 전기자동차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리튬 배터리의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유망한 교수라면 처음부터 관련 분야에 관심이 많았을까. 정 교수의 대답은 의외였다. 전공을 선택할 때 10년 뒤에 무엇을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은 전혀 없었다는 것. 처음에 화학공학과에 진학한 것도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