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발"(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죽지 않아요. 아직 완치할 수 있는 약이나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서 많은 과학자들이 암을 연구하고 있어요. 몸속 세포가 왜 암세포로 변하는지 원인을 밝히고, 암을 예방해 오래 살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죠.그런데 우리 주변에 암에 걸리지 않는 동물이 있어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생각하지 못했던 수를 두어 깜짝 놀랐다”고 밝히기도 했지요.하지만 이건 알파고가 개발자들이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에요.알파고 같이 뛰어난 인공지능은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을 가지고는 있지만, 결국 알고리즘을 따른 결과예요. 그리고 이 ...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질소를 선택적으로 흡착해 제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흡착물질’이 개발됐다.한국화학연구원과 연세대, 프랑스 CNRS 등 공동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를 만들어 가스에서 질소를 효율적으로 흡착해 없애는 데 성공하고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6년 12월 19일자에 ... ...
- [Issue] 과학자들이 남성 출산율을 계산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불완전한 데이터를 이용해 아기 아버지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는 통계적 기법을 개발했다”며 “이를 토대로 독일 남성의 합계출산율을 계산했다”고 말했다. 분석 결과, 독일 남성의 합계출산율은 여성보다 4~10%정도 낮았다.연구팀이 남성 출산율을 연구한 건 넓은 범위의 복지 정책에 활용하기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上 거인신이 남긴 선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2%)을 차지하지만, 경제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새로운 제련법이 개발되면서 주방에서 항공기까지 철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금속이 됐다.인류의 새로운 지평을 연 티타늄의 등장원자번호 22번인 티타늄(Ti)은 1791년 영국의 성공회 목사이자 아마추어 광물학자인 윌리엄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주를 선정한다. 이에 따라 제약회사들은 해당 독감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한다.생존전략 1 변이 잦은 RNA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꾸준히 사람들을 괴롭힐 수 있는 첫 번째 비결은 RNA에 변이가 잦다는 점이다. 생물은 생존하기 위해 돌연변이가 생기면 원래대로 복구하지만 인플루엔자는 이것을 ... ...
- [게임카페] 피하고 맞히고 탑다운 슈터 下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쓸 수 있어서 우리나라에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 세계적으로 70만 명의 개발자가 사용하고 있어요. 게임샐러드로 만든 80여 개의 게임이 미국 앱스토어에서 100위 안에 들었고, 1위를 한 게임도 여럿 있어요. 기대만발, 게임샐러드로 탑다운 슈터 만들기이제 게임샐러드 홈페이지(www.gamesalad.com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정도로 혼란스러웠다. 윤 교사는 바로 잘못됐다는 점을 깨닫고, 특수학생에 맞는 수업을 개발했다.선혜학교의 고등학생은 보통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수준이 비슷해서 윤 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초등학교 저학년 SW 수업을 많이 참고했다. 그 결과 교사도 보람 있고, 학생도 즐겁게 참여할 수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갈 필요 없이 자신의 유전자 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볼 수 있는 ‘DNA 앱 스토어’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2011년만 해도 자신의 유전자를 해독하는 데 드는 비용은 10만 달러(약 1억1800만 원)에 달했지만, 일루미나는 자신만의 해독 기술로 2014년 기존의 1%에 해당하는 1000달러(약 118만 원)까지 비용을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달걀을 사용해 만들어졌어요. 대표적인 예가 독감 백신이에요. 1940년대 달걀로부터 처음 개발된 독감 백신은 50여 년 이상 활용됐지만 몇 가지 문제가 있어요.달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경우 주의해야 하고, 조류독감이 유행해 닭이 살처분 되면 백신 원료인 유정란 공급에도 차질이 생겼지요.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