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것이다.실제로 미국과 일본에서는 기생충 감염이 줄어든 1930년대 이후 면역 체계의 과민
반응
으로 생기는 장염과 크론병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다. 기생충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기생충 감염률이 떨어지면서 아토피 피부염이나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이 늘어났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과학자들은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분무기로 뿌리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이 물질은 혈액의 헤모글로빈에 붙어 발색
반응
을 나타내는데, 어두운 현장에서 이 용액을 뿌리면 혈흔이 있는 자리만 형광으로 빛난다. 최근에는 혈흔의 백혈구를 보존해 유전자 검색까지 할 수 있는 ‘헤마글로’라는 새로운 검색 물질이 사용되는 추세며,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좌측 내이는 순음, 좌측 측두엽에 많은 정보를 주는 우측 내이는 클릭음에 각각 더 크게
반응
하는 것을 관찰했다.순음은 한 가지 주파수만 갖는 소리로 악기소리가 이에 해당한다. 클릭음은 각종 주파수의 순음들이 여러 개 섞여 있는 복합음으로 대표적인 예가 말소리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음악과 ... ...
잠 안자도 끄떡없는 초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3~4시간을 자고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돌연변이 초파리는 생체
반응
시간을 알 수 있는 탈출 실험에서도 정상 파리와 똑같은 속도를 냈다.키렐리 교수는 “이 유전자는 포유류와 사람도 갖고 있다”며 “돌연변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이 인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게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표현한 것이 ‘안우성 지도’다.또한 뉴런은 특정 방향의 막대나 모서리 모양에 특히
반응
을 잘 하는데, 이를 ‘방향성’이라고 한다. 뉴런의 방향성은 다음 단계의 시각정보 처리과정인 사물의 가장자리 감지 또는 윤곽 인식을 위해 필수적이다. ‘방향성 지도’는 뇌의 각 영역을 뉴런이 선호하는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산소의 화학
반응
에서 생긴 전기로 달린다.문제는 일반 연료전지차는 추운지방에선 화학
반응
으로 발생한 물이 얼어붙어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혼다 FCX는 동결방지장치가 있어 영하 20℃에서도 시동이 걸린다. 특히 가솔린차의 3배, 하이브리드차의 2배에 달하는 높은 에너지 효율과 한번 ... ...
MIT 미디어랩 - 사람 중심의 미래를 준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연구그룹은 사람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컴퓨터가 사람의 감정표현을 인식하고
반응
하는 지능형 시스템 개발이다. 예를 들면 채팅 중에 사용자가 우울한 느낌의 단어를 사용하면 이를 시스템이 파악해, 사용자에게 즐거운 표정의 아바타가 나타나 웃겨주는 식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변화를 ... ...
암·당뇨 집에서 혼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하고 이 혈청이 DBD 속의 진단키트와
반응
해 질병을 진단한다.유 교수는 “일반 CD처럼 DBD 드라이브를 켜면 40분 안에 검진이 완료되고 분석 결과가 나온다”며 “이 장치를 병원과 연결해 진단 결과는 바로 의사에게 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또 그는 “이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발현과 단백질 합성을 통해 일어난다. 군소 민감화 학습에서는 세포 내에서 인산화
반응
을 일으키는 효소인 카이네이즈가 관여한다고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카이네이즈 중 PKA가 유전자 전사인자인 CREB을 인산화시키고, 인산화된 CREB이 여러 유전자들을 다시 활성화시켜 새로운 단백질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러다가 시냅스를 이루고 있는 신경세포막의 표면으로 올라가면 신경전달물질과
반응
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수용체는 구조가 변해 무기이온이 지나가는 이온통로가 되거나 세포내 신호전달을 유도하는 신호단백질이 된다. 최근 수용체가 인산화되면 수용체를 통과하는 이온의 양이 변한다는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