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구사하는 말이 스스로의 사고 과정을 통해 나온 것인지 시청각 자극에 대한 단순
반응
일 뿐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렇지만 은키시가 사람 목소리를 녹음했다 들려주는 것처럼 흉내를 잘 내는 ‘성대모사’의 고수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그 비결이 뭘까?네덜란드 ... ...
뇌 속에 감춰진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색채 만드로 화면을 구성했다.대뇌의 시각피질에는 특정한 방향의 선에 선별적으로
반응
하는 신경세포(뉴런)가 있다. 이 뉴런들이 시각정보를 종합해 형태를 구성한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 이 뉴런은 몬드리안 등의 그림을 볼 때 가장 활발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저자는 우리가 미술작품을 ... ...
밥 먹으며 상대 마음 헤아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오른쪽으로 흐른다. 식사중인 사람이 스트레스를 느끼면 저항이 뚝 떨어진다. 스트레스
반응
으로 몸에서 땀이 나 전류의 흐름이 쉬워지기 때문.라르손은 “상대방인 편한지 불편한지를 눈치채는 것이 데이트 성공의 지름길”이라며 “상대가 모르게 전극 식기를 쓰게 하면서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3월 4일 밝혔다.TRPV3은 33℃ 이상의 온도에서 활성화되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격렬하게
반응
한다. 또 대부분의 고온통증 단백질과는 달리 피부의 각질세포에서 발현된다. 이 단백질의 유전자가 제거된 생쥐는 정상 생쥐에 비해 열로 인한 통증을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연구진은 또 식물에 존재하는 ... ...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않고 작은창자까지 내려온다. 이 단백질은 작은창자의 점막에 닿는데 그곳에서 면역
반응
이 일어난다.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항체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것이다.“먹는 백신은 1990년대 초반 미국 과학자 찰스 안첸이 아프리카에서 백신 바나나를 연구하면서 시작됐어요. 가난한 아프리카 어린이들이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음파발광을 일으키면 분해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음파발광으로 각종 화학
반응
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이다.곽 교수는 “서슬릭 교수팀은 음파발광을 이용해 혈액을 대신할 수 있는 헤모글로빈 기포나 나노 촉매를 제조하는 등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서있다”며 “음파발광은 잠재성이 큰 ... ...
컴퓨터, 유해물질에 로그인!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브롬 난연제가 많이 사용된다. 불에 타려면 산소가 필요한데, 브롬은 연소 중에 산소가
반응
하지 못하도록 방해해 제품이 잘 타지 않게 한다. 이 같은 난연 효과는 브롬보다 요오드(I)가 더 좋지만, 요오드는 제품에 첨가하기가 어렵다.브롬 난연제는 1920년대부터 플라스틱, 건축재, 형광등, 소화기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선호도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 시장의 변화에 따라 자전거 디자인에 민감하게
반응
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따라가지 못했던 것이다. 공학자에게는 소재의 한계 때문에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이 당연해보일 수도 있지만 소재뿐만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도 함께 소비하는 일반인에게는 그렇지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지뢰밭을 찾아내는 식물이 대표적 예다. 지뢰에서 이산화탄소가 조금씩 유출되면 이에
반응
해 잎의 색이 바뀌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호주 멜버른대 앨런 베이커 교수에 의하면 중금속을 저장하는 능력이 있는 식물이 세계적으로 440종이 넘는다고 한다. 지난해 집계를 보면 약 10%인 44개의 식물을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붕소는 열중성자를 잘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일단 중성자와
반응
하면서 알파입자와 리튬-7로 쪼개진다. 이렇게 핵분열된 두 파편은 주위 암세포를 정확히 죽이게 된다. 김영진 박사는 “붕소를 흡수한 세포만을 정확히 공격할 수 있어 일반세포에 대한 방사선 조사효과를 ... ...
이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