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부모의 과대평가가 아이를 망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에디 브루멜만 교수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브래드 부시맨 교수는 7세에서 11세
사이
의 네덜란드 어린이 565명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어요. 6개월 간격으로 4번씩 설문 조사를 하며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뛰어나다’와 같은 질문을 통해 부모가 아이를 과대평가 하는지, ... ...
스티로폼 볼, 배터리로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배터리의 전극에는 순수한 탄소 덩어리인 흑연이 사용돼요. 열을 가한 흑연의 탄소층
사이
를 리튬 이온이 이동하며 전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죠. 연구팀은 스티로폼 볼을 얇은 판으로 만들어 전극으로 쓸 수 있게 한 거예요.연구팀은 스티로폼 볼에 593℃ 정도의 열을 가해서 탄소 시트를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잡아먹을 수 있거든요. 말미잘의 독에 면역을 가지고 있는 흰동가리는 말미잘 촉수
사이
에 숨어 포식자의 공격을 피한답니다.사람에게 은혜 갚는 제비주로 곤충을 잡아먹는 제비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을 없애는 기특한 새예요. 사람과 제비와의 관계는 서로 이익을 보면서 함께 사는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는 현실과 환상
사이
의 새로운 세계를 꿈꾸곤 했다. 해초와 난파선, 인공 어초
사이
에서 마주친 낯선 풍경에 익숙하고 생기 넘치는 일상을 포갰다. 그렇게 탄생한 게 바로 ‘가라앉는 세계’ 시리즈다.특별한 건 사진뿐만이 아니다. 그는 뉴욕 같은 대도시가 아닌 깊은 바다 밑 한가운데서 전시회를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게임은 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한 여자를
사이
에 두고 경쟁하는 두 남자가 있다면, 이들
사이
에서 게임의 규칙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존 내쉬는 이 비협력관계 게임이론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영화에도 이와 관련된 장면이 등장한다.한 명의 여자를 두고 경쟁하는 두 남자의 경우를 생각해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것은 바로, 이 구조물(치)
사이
의 간격이에요. 오른쪽의 그림에서 구조물
사이
의 간격이 일정해 보이지 않나요? 어떤 기준으로 정했을까요?잠시 정약용이 되어 상상해 보세요. 아마도 당시의 방어무기인 조총의 사격거리를 기준으로 정하지 않았을까요? 당시 조총의 사격거리는 100보 정도였어요.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결합력이 강해 다른 물체와 겹쳐 놓으면 흠집이 나기가 쉬워요. 하지만 2차원물질은 층
사이
가 약한 반데르발스힘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어떤 물질과 겹쳐도 쉽게 붙고 상처도 잘 생기지 않아요.샌드위치를 한 입 베어물면 재료가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맛이 느껴지는 것처럼, 서로 다른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없이 지구와 통신하라!그렇다면 이 조종기로 로버도 조종할 수 있을까요?“지구와 달
사이
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 조종기로 로버를 조종할 수는 없어요. 훨씬 큰 컴퓨터로 우주에서 쓰는 주파수인 ‘S band’라는 주파수대역을 이용해야 해요. 그러면 로버의 움직임을 조종하거나 로버와 영상을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만든 회로로 재현했습니다. 그 결과 “단순히 구멍을 뚫는 방식보다 벌집의 육각형
사이
를 벌리는 식으로 설계한 구조물이 더 안정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체 구조를 유지하면서 구멍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게 된다면 투명 망토뿐만 아니라 투명한 재료나 기구를 만들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 ...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디로든 움직일 수는 있지만 저도 좋아하는 방향이 있습니다. 전 좌우 30°에서 60°
사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 좋아합니다. 제 움직임을 분석해보니 이 방향으로 가장 많이 움직였다더군요. 제가 45° 방향으로 이동해 멋진 포즈를 잡아볼 테니 함께 사진이나 찍는 게 어때요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