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없이 지구와 통신하라!그렇다면 이 조종기로 로버도 조종할 수 있을까요?“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 조종기로 로버를 조종할 수는 없어요. 훨씬 큰 컴퓨터로 우주에서 쓰는 주파수인 ‘S band’라는 주파수대역을 이용해야 해요. 그러면 로버의 움직임을 조종하거나 로버와 영상을 ...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지도를 그렸습니다.연구팀은 지진파 진동을 이용해 지구의 껍질인 지각과 지구 외핵 사이의 구조를 3차원으로 나타냈습니다. 지진파를 표시한 왼쪽 지도에서 빨간색과 노란색은 느린 지진파를, 초록색과 파란색은 더 빠른 지진파를 나타냅니다. 연구팀은 지진파가 단단한 바위에서는 빠른 속도로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때문이다.연구단은 여러 채의 한옥에서 정보를 수집해 부재의 치수와 특성, 부재와 부재 사이의 관계, 구조와 비례, 공간의 연결 관계 같은 여러 가지 변수를 수식으로 나타냈다. 한옥 모양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변수의 범위도 정했다. 예를 들면, 기존 한옥의 처마허리 곡선의 곡률을 측정해 ...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1만 7190년이다. 이 공식으로 애리조나 주립대 연구팀은 보이니치 문서가 1404년에서 1438년 사이 유럽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보이니치가 손에 넣기 약 450년 전에 탄생한 것이다. 실제 언어라면 ‘지프의 법칙’ 따른다영국 정보학자인 고든 러그는 보이니치 문서가 아무 뜻이 없는 ... ...
- 도요새는 왜 봄에 우리나라로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뭇가지가 울창한 아름드리 나무로 변신해요. 아무 것도 살 수 없는 황량한 땅이 몇 주 사이에 생명이 넘쳐나는 활기 넘치는 땅으로 바뀌는 거예요. 이런 큰 변화는 온대지역의 땅이 비옥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랍니다.봄에 식물의 잎이 돋아나 먹이자원이 갑자기 풍부해지면 온대지역은 철새들이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렇게 몸집을 줄일 수 있는 비 결은 뭘까. 과학자들은 엘리뇨가 심했던 1992년부터 1993년 사이에 바다이구아나들의 몸집이 최대 20%까 지 줄어든 데 주목했다. 이들은 바다이구아나의 근육 과 지방, 그리고 연골이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예측했 지만, 실제로 관찰해 보니 그렇지 않았다. 이렇게만 줄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빨라야 2018년부터 볼 수 있겠지만, 400년이나 기다렸는데 좀 더 못 기다리겠어? 어쩌면 그 사이에 또 새롭고 획기적인 망원경이 등장할 수도 있고…. 친구들도 두근대는 마음으로 기대해 줘. 새로운 거대망원경들이 보여 줄 깊고 새로운 우주를 말이야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이 숫자를 바탕으로 보수를 진행하던 중 내전이 일어났는데, 공사를 중단한 사이 건물 일부가 무너져 버렸다고 합니다. 애써 맞춰놓은 퍼즐이 다시 흩어진 것이지요. 다행히 지금은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됐지만, 아직도 제자리를 찾지 못한 돌덩이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습니다.‘중앙의 산’의 ... ...
- [참여] 반짝반짝 빛나는 신비한 광물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재 지구에는 300종류 이상의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는 광물이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도 그중 200종류 이상의 광물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곳이 있다. 바로 경기도 ... 사랑하렵니다.”대학시절부터 이어온 광물을 향한 권 관장의 일편단심은 박물관에 가득한 보석 사이에서도 빛났다 ... ...
- 손가락 관절 ‘뚝’ 소리 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공기가 급격히 빠져나가는 순간에 소리가 발생했다. 유리판에 흡착고리를 붙였다 뗄 때 사이에 공기가 생기면서 소리가 나는 것과 유사한 원리다. 그레고리 교수는 “관절은 약 20분 뒤에 다시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온다”며 “관절에서 소리를 내는 일을 반복하는 것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