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우주 탐사를 국익에 활용하는 일본과 중국을 지켜만 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시아발(發) 달 탐사 레이스 시작, 달에 누가 먼저 가나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중 하나로 6월 19일 공개됐다. 굴삭기는 붕괴된 건물의 잔해를 제거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장비다. 그러나 가파른 경사면에 접근할 수 없고, 정교한 조종이 어려워 2차 붕괴를 유발하는 등 한계도 많다. 연구팀은 굴삭기에 360도 회전하는 팔을 하나 더 붙여 문제를 해결했다. 벽이나 땅을 뚫을 때 ... ...
- [Issue] 화려함을 디자인하는 과학, 불꽃놀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잠시 뒤 깜깜한 밤이 오면 편집부 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타상연화가 부푼 기대를 안고 하늘 끝까지 솟구칠 것이다. 그리고 크기가 140m나 되는 31이라는 숫자를 터뜨리면서 축하해줄 것이다 ... ...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기회를 걷어 차다니!). 메이나드 스미스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설명하며 공동 연구를 제안했다. 프라이스는 기뻐했지만, 메이나드 스미스가 마땅히 제 1저자를 차지해야 한다고 고집을 부렸다. 1973년 메이나드 스미스와 프라이스의 공동 논문인 ‘동물 갈등의 논리’가 ‘네이처’에 게재됐다. 진화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수학 분야인 미분기하학에서 그 아이디어를 가져왔다. 미국의 수학자 리처드 해밀턴이 고안한 ‘리치 흐름’이라는 기법을 활용한 것이다. 리치 흐름은 어떻게 휘어져 있느냐에 따라 공간을 다르게 변화시켜 나간다.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위상적인 성질은 건드리지 않는다. 그런데 문제가 ...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말하는 거죠? 가만 있자, 그 숫자가 1729였나…. 라마누잔이 병원에 입원했을 때, 병문안 온 영국 수학자 고드프리 하디가 타고 온 택시 번호를 듣고 두 가지 다른 세제곱의 합(13+123=93+103)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라고 했다죠. 맥도날드에도 수학이!? 과학 박사: 참 재미있는 숫자지요. 택시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곡선을 포함한 공간이다. 모듈라이 공간의 전체 구조는 매우 복잡해 수학자들은 오랫동안 이 공간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 머리를 싸맸다. 그런데 이 문제를 미르자카니 교수가 해결했다. 미르자카니 교수는 모듈라이 공간의 부피를 구하는 논문에서 물리학자 에드워드 위튼이 제기했던 추측에 대한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시간도 오래 걸리고 가격도 최소 30만 원 정도로 비쌌다. 반면 3D프린터를 쓰면 단 몇 시간 안에, 약 3만 원으로 화분을 뽑을 수 있다. 두 대표는 시청이나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3D프린터를 쓴 덕분에 마음에 드는 피렌체 화분 모형을 무료로 뽑아볼 수 있었다. 3D프린터로 뽑은 화분을 보고 화분의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팀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탐사 로봇(왼쪽 사진)을 만들었다. 길이가 58cm, 무게는 4kg밖에 안 된다. 이 로봇을 인도 팀의 로켓에 함께 실어 보내기로 계약했다. 은과 테플론 소재로 표면을 코팅해서 태양빛을 최대한 반사하게 했고, 그 결과 섭씨 영하 150도~영상 100도에서 견딜 수 있다. 뜨거운 달 표면을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여부 보다는 툴젠 등 다른 기관에 쏠려 있다. 툴젠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진핵세포 안에서 작동한다는 사실을 보였고, 브로드연구소보다 2개월 앞선 2012년 10월 미국에 특허를 출원했다. ‘누가 먼저 개발했느냐(선발명주의)’가 아니라 ‘누가 먼저 출원했느냐(선출원주의)’를 우선시 하는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