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d라이브러리
"
연결
"(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문제2 제시문 (나)와 (다)를 바탕으로 변압기의 구조에 관련된 물음에 답하라. 1) 입력부에
연결
된 직류전원의 스위치를 닫았을 때 저항 R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제시문 (가)에 언급한 전자기유도 법칙을 이용해 논하라. 2) 제시문 (다)처럼 우리나라의 송전선로는 효율적인 송전을 위해 66kV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위한 수적의 운동, 운동을 결정하는 힘, 힘의 크기를 결정하는 구름 입자의 크기 등
연결
고리를 찾아내면서 문제를 해결합니다. 2) 부력의 크기가 무시할 정도로 작다면 구름 안에서 수적이 받는 힘은 중력과 저항력뿐이다. 구름 안에서 수증기가 응결해 성장한 수적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속력이 ... ...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내성을 갖는 과정1 섬모(필리)가 두 박테리아를
연결
하면 세포를 끌어당긴다.2 세포질을
연결
해 DNA가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만든다.3 플라스미드의 DNA를 복제한 뒤 기다란 DNA 사슬로 전달한다.4 박테리아에서 플라스미드 합성이 끝나면 세포질이 분리된다.5 내성을 갖게 된 박테리아는 또 다른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등에 전시돼 있다.중·소신기전은 화살에 추진체를
연결
한 ‘로켓화살’이다. 당시 일반 화살의 사정거리는 100m. 소신기전은 200m 이상을 날아가고 중신기전은 이보다 더 긴 250m까지도 날아갔다는 기록이 있다. 중신기전은 폭발기능까지 갖추고 있었다. 약통에서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담고 있는 DNA나 RNA 사슬도 물론 중합체다. 블록공중합체란 두 가지 이상의 중합체가 서로
연결
돼 있는 특별한 경우. DNA 사슬 한쪽 끝에 RNA 사슬이 붙어있다면 DNA-RNA 블록공중합체가 되는 셈. 블록 즉 덩어리는 한 가지 분자로 이뤄진 중합체 부분을 말한다. 그런데 왜 굳이 번거롭게 블록공중합체를 ... ...
자전거 만드는 핵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용기 내부를 관통하는 헬륨냉각 배관길이가 1960m, 용접 부위가 5000여 곳이나 된다. 이들을
연결
하는 배관을 순수 국산 기술로 만든 덕에 비용을 100억 원 정도 절약했다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내려져 있었다. 아마도 누군가 지난밤 일과가 끝난 뒤 한창 실험 중인 기기가 전원에
연결
돼있는 사실을 모르고 주 전원스위치를 내린 모양이었다.하는 수 없이 실험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 반응 시간을 다시 계산한 뒤, 분 단위로 빡빡하게 짜여진 실험 일정을 수정하는 일은 쉽지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수개월은 피 말리는 시간이었다”고 고백했다.특히 액체 헬륨을 담는 저온용기는 외부와
연결
되는 포트개수가 210개, 용기 내부로 관통하는 헬륨냉각 배관길이가 1960m, 용접개소가 1만 5000여 곳이나 되기 때문에 위험이 가장 컸다. 만약 실험 중 진공누설이 일어나면 거대한 진공용기를 해체하고 다시 ... ...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 있는 수학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만들 수 있다. 그런데 타일에 줄무늬 패턴을 만들어 타일을 붙일 때 줄무늬가 서로
연결
돼야 한다는 조건을 주면 주기적 타일링을 만들 수 없다(그림2).연 5개로 만든 ‘태양’을 출발점으로 만든 패턴과 다트 5개로 만든 ‘별’을 출발점으로 한 타일링을 보자(그림3). 태양이나 별에서 타일을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R t 에 걸리는 전압 또한 점점 작아진다. 이때 R t 를 구성하는 가변저항 R과 전구 A는 병렬
연결
됐으므로 두 저항에 걸린 전압은 각각 R t 에 걸린 전압과 같다. 따라서 전구 A에 걸린 전압 또한 점점 감소한다. ② 전구의 밝기는 소비전력에 비례하고, 소비전력의 정의와 옴의 법칙을 따르면 전력 P=V2/R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