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 푹~! 이봉주 선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화만 봤어요. 어과동에 나오는 만화는 모두 재미있잖아요. 하지만 꾸준히 보다 보니 점점기사도 읽게 되더라고요.저는 특히 생물과 관련된 만화와 기사가 재미있어요. 요즘 학교에서 배우는 생물 내용이 어과동에도 많이 등장하거든요.어과동에서 본 내용이 학교 공부에도 도움이 됐나요?네. 요즘 ... ...
- B 블록, 장난감을 뛰어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소프트웨어와 조립 방법을 모두 공개했어요. 이제 재료비 40만 원 정도만 들이면 누구나 점자 프린터를 만들 수 있게 된 거예요. 바네르제는 2014년 가을, ‘브레이고 랩스’라는회사를 차렸어요. 그리고 지금은 미국의 반도체 회사인 ‘인텔 에디슨 칩’과 함께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있답니다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L형만 선별적으로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문제는 두 거울분자의 특성이 다르다는 점이다. 그래서 몸속에서 여러 물질대사를 돕는 효소나, 냄새나 맛을 느끼게 하는 입자도 거울분자에 따라 전혀 달라진다.두 가지가 공존하는 거울짝꿍냄새나 맛을 느끼게 하는 입자도 마찬가지다. 코나 혀에는 ... ...
- [지식] 재미난 수학이 삶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여러 번 봤어요. 이렇게 아이디어를 바로 이야기하는 자세는 공동 연구를 할 때 굉장한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말을 안 하면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는 사람처럼 보일 수도 있거든요.” 소중한 두 역할, 수학자와 엄마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 실력을 비교하는 기사를 많이 접한 기자는 수학을 잘하고 ... ...
- [수학동아클리닉] 변신! 정십이육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이어 정이십면체로 바꿀 수 있다.정이십면체는 각 면의 중심에 점을 찍어, 이 점들을 꼭짓점으로 하는 정십이면체로 변신할 수 있다. 이렇게 다섯 개의 정다면체가 차례로 변신하며 다시 원래의 도형으로 돌아오는 것을 ‘정다면체의 순환’이라고 한다.다음 장에서 정육면체에서 정십이면체로 순환 ... ...
- [수학동아클리닉] 재구성으로 배우는 원기둥, 원뿔, 구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활용한 세계 지도구 모양의 지구가 거대한 원통에 담겨 있다고 가정하고 지구의 각 점을 원통에 투사한 뒤, 원통을 수직으로 잘라 펼치면 세계지도가 됩니다. 2. 원기둥 모양의 캔구는 같은 부피를 갖는 입체도형 중에 겉넓이가 가장 작지만 안정적으로 세우기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캔을 만들 때 ...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가 각광을 받으면서 영향력 지수(임팩트 팩터, IF)가 급등했다. 2010년 4.7에서 현재 6점대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 가장 단골로 다루는 소재는 유전자 편집 가위인 ‘크리스퍼’ 기술이다.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조작한 식물이나 박테리아 연구가 매달 2~3편씩 저널에 실린다.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지나가는 사람들의 이마만 쳐다보고 있곤 했다. 최근에는 머리뼈의 여러 특징들에 점수를 매겨 머리뼈가 남성(혹은 여성)일 확률을 계산하는 공식을 자주 사용한다.일상적인 활동에 영향 받지 않는 치골 뼈로 연령 추정모든 사람의 뼈는 대체로 비슷한 과정을 거치며 자란다. 원하든 원치 않든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저항하는 정도)이 약해 철도로 사용하기엔 위험할 수 있다. 사장-현수교는 두 공법의 장점만을 취한 것이다. 도시가 안정적으로 터를 잡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을 다스리는 일(치수)이다. 그리고 치수의 핵심 중 하나는 물을 가두는 일이다. 댐이 그 역할을 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댐은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론 자체가 발전할 수 있다. 한 가지 더. 컴퓨터의 속도가 꾸준히 빨라지고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범위가 실제로 확장되고 있다.김상연 영화 등 대중매체와 수학은 뗄 수 없는 관계다. 다양한 그래픽이 수학 덕분에 가능해졌는데, 아직 수학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