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게임세계에선 나도 금메달~ 맞혀라, 황금과녁!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더욱 비슷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바람이 불어요. 왼쪽에서 바람이 분다면 화살은 조준점보다 오른쪽으로 빗맞지요. 바람이 부는 방향과 세기에 따라 화살이 빗나가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또는 과녁이 아예 활보다 오른쪽 또는 왼쪽에 떨어져 있어서 활이 향하는 방향을 움직인 다음 화살을 쏴야 하는 ... ...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라지 사이즈는 스몰 사이즈에 비해 넓이가 약 4배 정도인 셈이지요.하지만 피자 체인점에서 내놓은 가격들을 살펴봤더니 가격은 라지 사이즈가 스몰 사이즈에 비해 더 비싸긴 해도 4배까지 차이 나지는 않았답니다. 즉 라지 사이즈가 훨씬 양이 많고 효율적인 셈이지요(모핏과 브라운이 설명하는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우와~. 엄청 크다.”2016 수학동아 게임카페의 첫 번째 순서로 엔씨소프트 사옥을 견학하면서 여기저기서 탄성이 터져나왔어요. 1층 로비부터 12층 도서 ... 게임카페는 게임 기획부터 출시까지 실제로 게임이 개발되는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 [과학뉴스] 식물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Plant Biotechnology Journal)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가 각광을 받으면서 영향력 지수(임팩트 팩터, IF)가 급등했다. 2010년 4.7에서 현재 6점대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 가장 단골로 다루는 소재는 유전자 편집 가위인 ‘크리스퍼’ 기술이다.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조작한 식물이나 박테리아 연구가 매달 2~3편씩 저널에 실린다.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안전하다는 것은 학문적으로 일치된 바다(scientific consensus).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GMO는 식물 육종을 위한 방법이지, 전혀 다른 식물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전통적으로 육종된 식물들(관행육종, conventional breeding)이 GMO로 생산된 식물들보다 더 위험할 수도 있다. GMO는 철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최근 전자기기를 제작할 때 큰 문제 중 하나는, 소자가 집적화될수록 열이 많이 난다는 점이다.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를 이용해 열을 방출해 줘야 하는데, 유망한 후보가 바로 그래핀이다. 그래핀을 방열소재로 이용하려면 그래핀 자체의 포논뿐만 아니라 그래핀과 전극 접합소재 접촉면에서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것이다. 실수가 무한히 늘어선 축을 생각해보자. 축 위의 한 점에 양수 A를 곱하면 이 점은 양의 방향으로 A배 만큼 전진한다. 반대로 음수 B를 곱하면 음의 방향으로 B만큼 돌아간다. 실수로 구성된 축에서는 이처럼 앞뒤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 방향이 180°에 한정된 것이다.허수를 곱하면 방향이 ...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림에 잘 나타난다. 바벨탑의 기둥을 살펴보면 기둥의 아랫부분은 넓고 위로 갈수록 점차 가늘고 좁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플라잉 버트레스는 건물이 옆으로 넘어지려는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외벽의 도움 때문에 고딕 양식 건축물은 이전의 건물보다 벽이 더 얇고, 더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뒤, 크레인으로 절단된 철골을 지상에 내린다. 소음이 작고 진동이나 분진이 적다는 장점은 있지만 문제도 있다. 초고층 건물의 가장 꼭대기 층까지 중장비를 올리는 것이 까다롭다. 불가능한 일은 아니나 200m 가량을 오르락내리락 하는 데 쓰는 시간 때문에 공사 기간이 길어진다.화약을 이용해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내가 언제 다시 그 위에 올라설지 전혀 몰라. 알 필요도 없는 거지. 다만 과거 어느 시점에 올라섰는지만 정확히 알면. 실제로 일어난 일이니까 예측할 필요도 없었겠지. 그냥 기록하면 되니까.’그렇다. 완전히 봉인되어 있는 그 체중계의 핵심부품은, 배터리보다 조금 더 중요한 외계기술이란, 바로 ... ...
이전311312313314315316317318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