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과학동아 l1994년 02호
- 1993년 6월 1억3천5백만년 된 레바논의 호박에서 멸종된 초식곤충인 바구미의 DNA를 채취하여 가장 오래된 DNA를 발견한 행운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 바구미는 딱정벌레의 일종으로 공룡과 같은 시기에 살았다.때마침 영화 '쥬라기 공원'이 화제를 일으키고 있던 터라 포이너의 발견은 세인의 호기심을 ...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세우고 있다. 이달 말경에는 어둠이 깔리기 시작할 때 정남쪽을 바라보면 똑바로 선채로 지구를 지켜보는 듯한 오리온의 모습이 서울하늘에서조차도 선명히 보일 것이다. 천문박명 시간이 지나면서 오리온자리의 1등성 베텔규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 자리의 프로키온에 의해 이루어지는 ...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과학동아 l1994년 01호
-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젊은 수학자들을 버클리 대학에 모아, 그동안 순수성만을 강조한 채 여타의 과학과 담을 쌓고 있었던 수학의 흐름(부르바키라고 함)을 현실세계로 돌려 놓았다. 그는 푸앵카레의 후예답게 진동진자를 연구해 부분적으로는 예측불가능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안정된 카오스계의 ... ...
- 인공항문 장착하고 수영도 할 수 있다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최근 새로 개발된 스토마가 진가를 발휘한다.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왼쪽 옆구리에 찬 채 수영도 가능하다는 이 스토마는 출구의 크기에 정확히 맞는 원형 피부접촉면과 배설물을 저장하는 봉지로 이루어져 있다.접착면은 강한 점착력이 있으면서도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면 안되는데, 그 ...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임무는 현재 해상도가 무척 떨어졌을 뿐 아니라 앞으로 치명적인 고장의 가능성을 지닌 채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허블망원경을 고치는 일이다. 그는 지상에서의 끊임없는 연습이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하며, 그의 동료들과 함께 무중력 수조에서 무려 4백시간의 기간을 보냈다.4 ... ...
- 물리 - 동전과 달걀을 이용한 관성탐험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속이 굳어 있어서 껍데기와 속의 내용물 전체가 한 덩어리가 돼 돌지만 날달걀은 속이 액채상태로 돼 있어서 껍데기와 함께 돌지 못합니다. 즉 액체 상태인 속은 '정지의 관성'에 의해서 회전하지 않고 정지해 있으려고 하기 때문에 달걀의 회전을 방해하게 되는 것입니다.달걀로 한 가지를 더 실험해 ... ...
- 700년 잠깬 레바논의 미라들과학동아 l1993년 12호
- 그의 딸도 폭격을 피해 그 건물로 피신했다. 그들은 3개월 동안 계단 아래에서 쪼그린 채 자야만 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미라들은 유리 상자 안에서 아주 편하게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그뒤 부인과 딸이 시리아로 피신한 뒤에도 파디는 미라들을 지키기 위해 그곳에 남아 있었다. 그해 내내 그는 ... ...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2호
- 1.75시간으로, 여기에 1년인 2백60일을 곱하면 4백55시간이다. 즉 1천6백25시간은 PC를 켜둔채 사용하지 않아 전기를 낭비하고 있는 셈이다.우리나라의 전기료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1KWh당 회사용 60원, 가정용 1백원으로 평균 80원으로 볼수 있다. 1백50W를 사용하는 PC를 8시간 사용할 경우 ... ...
- 다비의 불길 속에서 태어나는 사리의 신비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분석해볼 필요성은 없다고 본다"고 피력했다.어찌됐건 의학계도 수긍하는 바는 정좌한 채 몇년씩 움직이지 않고 수행하는 스님들은 영양상태도 좋지 않고 신진대사가 원활할 수 없기 마련이므로 결석이 생길 수 있는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다.15년 간을 앉아서 잠을 잤다는 ...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과학동아 l1993년 11호
- 하는 블랙홀이 될 수밖에 없다.이 계산법에 따르면 현재의 무게를 그대로 지닌 채 태양이 반경 3㎞로 축소되고 지구가 1㎝로 축소된다면 블랙홀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른다.물론 블랙홀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인슈타인이 1917년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고 난 이후다. 일반상대론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