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원 - 침팬지는 인류의 조상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이거야. “침팬지가 우리의 조상 아녜요?” 잉? 지금도 동물원에 가면 볼 수 있는 침팬지가 인류의 조상이라고? 얼굴은 인간, 몸은 유인원. 누구를 그린 모습일까요? 바로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에요. 찰스 다윈은 1859년 출판한 에서 모든 생물이 자연선택을 ... ...
- 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예술 활동을 했어요. 이런 활동은 인류가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있었다는 증거지요. 그중 우리에게 잘 알려진 것이 ‘동굴 벽화’예요. 동굴 벽화는 고인류가 동굴에 남긴 그림으로, 동물부터, 손바닥, 기하학 도형 등 다양한 형태가 남아있어요. 동굴 벽화는 인류의 역사에서 극히 최근인 1만~3만 년 ... ...
- [가상인터뷰] 수컷 벌새가 암컷을 유혹하는 복잡한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벌새로봇2.0’을 개발하기도 했단다. 일리 : 다른 비행도 있니? 넓적꼬리벌새 : 우리는 비행의 고수야. U자 비행도 할 수 있어. U자 비행은 수컷 벌새가 높은 곳에서 ‘다이빙’을 하듯 급강하 비행을 한 뒤, 암컷 앞에서 잠시 정지 비행을 하다가 다시 위로 올라가는 비행이야. 그리고 금세 또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름을 지어준 개는 목줄을 채웠을 때 5초도 가만히 못 있을 정도로 싫어했어요. 그러다 우리가 주는 음식을 먹으며 경계를 풀었고, 전문가가 목줄을 매주셔서 산책도 다녀왔어요. 그게 좋았는지 나중엔 제가 산책을 안 시키면 똥을 안 쌀 정도였죠. 부라보도 사회화가 가능하다는 걸 보여줬으니,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완전 양식 기술을 개발해 치어를 동해에 방류했다. 동해에서 성장한 명태는 2017년 다시 우리를 찾아왔다(과학동아 2017년 3월호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참고). 지난 연말에는 하루에 수천 마리씩 잡힐 정도로 개체수가 늘었다. 처음에는 방류산 명태가 아니냐는 우려도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차에 들어 있는 이들 성분이 지방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L-카르니틴은 우리 몸에서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로 들여보내는 운반체 역할을 한다. 지방산은 L-카르니틴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에서 분해 돼 에너지를 낸다.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기능 때문에 온갖 다이어트 보조제에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조언했다. [재학생 인터뷰] 어디에서든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는 컴퓨터공학부 - 우리 학부를 소개합니다 왼쪽부터 순서대로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인터뷰에 참여한 18학번 정덕인, 18학번 박준영, 17학번 한상현, 18학번 이진우, 18학번 조민정, 17학번 김도현. 찬바람이 쌩쌩 불던 1월 3일,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용해 포도주 통의 부피를 넓은 원기둥으로 쪼개서 계산했는데, 이것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적분 개념이에요.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은 알고 있으니 각 원기둥의 부피를 구해서 더하면 포도주 통의 부피가 되는 거예요. 비슷하게 원하는 영역을 밑변의 길이가 같은 직사각형으로 잘게 ...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약 4경 배 많았다. 연구팀은 약 100억 년 전에 별 생성량이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현재 우리 은하에서만 매년 약 7개의 새로운 별이 생성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아젤로 교수는 “별빛의 총량을 계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별과 우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알려졌다. 백악기 공룡들이 잠들어 있는 퇴적층이 분포한 곳을 개발할 경우에는, 반드시 우리의 자연유산을 지키고 보존하는 절차들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