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성공했어요.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싶어요. 그런데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종장기 이식에 관련된 규정이 마련돼 있지 않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규정을 논의한 뒤,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랍니다 ... ...
- [이투스 입시정보] 물리학과, 미시와 거시의 세계를 넘나들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물리학자들입니다.천재들을 매료시킨 이 학문의 매력은 과연 무엇일까요?물리학과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요? *이투스 이달의 학과 : 물리학과 > 바로가기 -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물리학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물리학과 > 자세히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NAc는 다시 VTA에게 도파민을 더 보내달라고 요구한다. 뇌에서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우리는 행동에 대한 보상(쾌락)을 받았다고 느끼고, 또 다시 그 행동을 하기 위한 동기가 만들어진다. VTA가 만든 도파민은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hippocampus)와 감정을 관장하는 편도체(amygdala)로도 향한다. 이를 통해 ... ...
- Intro. MOONRUSH, 달 탐사 레이스가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우리가 달에 가기로 한 이유는, 그것이 쉬운 일이 아니라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야심찬 목표는 현실이 됐다. 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달에 첫 발자국을 남겼다. 그로부터 50년, 인류는 또 한 번 달에 갈 계획을 세운다. 이번에는 좀 다른 이유다.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올라가며 대기가 정체되는 봄철 불청객으로만 취급되던 미세먼지가 이제는 1년 내내 우리를 괴롭힌다. 정권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원장은 “2019년에도 미세먼지가 연중 말썽을 부릴 것”이라며 “매연 등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먼지뿐만 아니라 질산염이나 황산염이 광화학반응으로 먼지가 되는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게 중요합니다.” [재학생 인터뷰]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아우르는 재료공학부 - 우리 학부를 소개합니다왼쪽부터 순서대로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인터뷰에 참여한 17학번 김호현, 박찬웅, 한정현, 18학번 박유정, 하대철 아침 기온이 영하 10도까지 떨어진 12월 초, 재료공학부에 재학 중인 17, 1 ... ...
- [서술형 완전정복] 좌표평면으로 거리 구하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동남쪽 뱃길따라 이백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모두 잘 아는 노래 ‘독도는 우리 땅’ 가사입니다. 이 노래에 나오는 ‘동경 백삼십이 북위 삼십칠’이라는 구절이 정확히 뭘 뜻하는지 생각하며 부른 적 있나요? 오늘은 좌표로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배워보고 노래를 제대로 이해해봅시다 ... ...
- [교육뉴스] 여자친구와 함께 수학공식 배우자!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오늘부터 우리는~♪’ 칼군무로 유명한 아이돌 ‘여자친구’가 직접 수학공식을 가르쳐주면 어떨까요? 생각만 해도 의욕이 샘솟고 몇 시간이라도 책상에 앉아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EBS에서 운영하는 수학학습사이트 ‘EBSMath’는 2018년 12월 17일부터 ... ...
- [화보] 자연에 숨어있는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화성에 온 건가? 그럴 리가요! 여기는 아프리카 나미비아의 사막 근처 초원이에요. 우리와 눈이 마주친 동물은 오릭스예요. 오릭스는 아프리카와 중동에 사는 영양과 비슷한 동물이에요. 암수 모두 50cm가 넘는 멋진 뿔을 가지고 있지요. 오랫동안 물을 마시지 않아도 버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안녕? 어과동 친구들. 나는 과학마녀 일리야. “퉁 퉁 퉁 크릭 크릭” 숲을 지나는 데 숲속에 사는 퉁가라개구리의 노랫소리가 들려왔어. 그런데 어? 도시에 ... “도시화가 자연선택과 성 선택을 변화시킨 사례”라고 말했어. 도시화의 진행과 함께 우리 동물들도 같이 진화하고 있단다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